Page 62 중학교 진로와 직업 지도서
P. 62










(3) 문제 해결 방안 설정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한 철저한 준비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최선의 방안을 설정하여야
한다. 수업에서는 자료 수집 및 조사 단계로 개인 또는 공동 학습 문제 해결의 자료를 수집(조사, 사물
관찰, 실험 등)하고 수업 활동의 방안을 마련한다.


(4) 문제 해결 방안 적용
설정한 문제 해결 방안을 문제에 실제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문제 해결의 결과를 얻어야 한다. 수업에
서는 학습 활동의 전개 단계로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여 풍부하고 다각적인 활동을 전개해야 한다. 부
분에서 전체 또는 전체에서 부분으로, 곤란한 문제에서 단순한 문제 또는 단순한 문제에서 곤란한 문

제의 순서나 방법에 따라 활동을 전개한다.

(5) 결과에 대한 평가
선택한 해결 방안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를 한 다음에는 그 해결책이 실제로 효과가 있었

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평가를 실시하여야 한다. 이때에는 일정한 준거에 비추어 객관적인 평가가 되어
야 한다. 만일 선택한 문제 해결 방안으로 문제 해결에 이르지 못한 경우, 그 원인을 찾아 다른 방안을
시행할 준비를 한다. 즉, 해결 방안에 관한 종합적인 검토가 이루어진다. 수업에서는 결과의 발표 및
검토 단계로 새로운 것, 고차적인 문제 발견, 정리 발표(구두 발표, 보고서 제출, 극화, 제작물 발표

등), 질의 응답, 비판 토론 등을 한다.


3 문제 해결 학습의 실제

『진로와 직업』에서 문제 해결 학습 모형이 적용된 예는 다음과 같다. 『진로와 직업』 교과서 138~143
쪽, Ⅳ단원-1. 진로 의사 결정 능력 개발-(2) 진로 장벽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소단원의 수업

흐름도이다.

<그림 8> 소단원의 수업 흐름도


도입 전개 정리

문제 문제
문제 인식 평가
해결 방안 설정 해결 방안 적용


•학습 동기 유발 • 학습 방법 안내 • 나의 진로 장벽 •활동 평가하기
• 학습 주제(학습 • 진로 장벽 극복 극복하기(활동 2)
목표) 확인 사례 살펴보기 • 진로 장벽 극복
(활동 1) 가상 인터뷰하기
(활동 3)





라. 프로젝트 학습

1 개념


‘프로젝트 학습(Project Method)’이란 Dewey의 이론적 바탕 위에 1908년 Kilpatrik이 매사추세츠
주 실업학교에서 「농업에 관한 홈 프로젝트」라는 논문에 이어 그를 중심으로 연구 개발한 교수·학습
방법이다. Katz와 Chard(1989)의 프로젝트 접근법에서도 역시 ‘프로젝트’는 유목적적 활동으로서 ‘한
명 또는 그 이상의 학생이 어떤 주제를 깊이 있게 탐구하는 활동’으로 정의하고 있다.


60 총론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