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7 고등학교 컴퓨터 그래픽 교과서
P. 237
1 편집 디자인의 이해
길잡이 편집 디자인의 구성 요소는 무엇일까?
Tip
편집이란 일정한 기획 아래 여러 가지 정보나 데이터 등의 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구 편집 디자인의 형태에 따른 종류
서적 형태: 교과서, 잡지, 사보, 단
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행본, 브로슈어, 카탈로그
펼침면 형태: 리플릿, 일간 신문, 생
활 정보지
1 편집 디자인의 개념 낱장 형태: 명함, 봉투, 안내장, 전
단, 포스터
편집 디자인은 종이 인쇄물이나 비종이 인쇄물 지면에 정보를 빠르고 즐겁게 전달
하고자 편집 디자인 요소인 문자, 사진, 일러스트레이션, 다이어그램, 색, 여백 등을 의
도적으로 선택하고 합리적으로 구성하는 디자인 작업을 의미한다.
편집 디자인의 소책자는 사용 목적과 외양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용
도에 따라 한 소책자에 두 가지 이상의 성격이 담기기도 한다.
카탈로그(catalog) 선전을 목적으로 상품의 그림, 설명 등을 소개한 소책자
리플릿(leaflet) 설명, 광고, 선전을 목적으로 낱장을 접어서 만든 소책자
브로슈어(brochure) 기업의 업무 안내나 PR를 목적으로 만든 소책자
시사 문제, 소논문, 심포지엄이나 세미나 등 행사와 관련해서 일시적으로 만들어
팸플릿(pamphlet)
내는 소책자
2 편집 디자인의 구성 요소
아브라 디자인 - 통일성을 갖춰 구
편집 디자인은 다양한 글자의 서체, 서체 성된 편집 디자인 결과물
의 크기, 자간, 행간, 행장, 색상, 여백, 사진
과 일러스트레이션 등의 이미지로 구성된다. 그리드 시스템
편집 디자인의 구성 요소를 통하여 주목성, 편집 디자인을 할 때는 일관성 있는
체재를 만들어야 하는데 그리드 시
가독성, 명쾌성, 조형성, 창조성, 경제성 등이 스템은 질서 감각을 갖출 수 있도록
도와주는 훌륭한 수단이다.
나타나도록 그리드 시스템을 활용하여 디자
인해야 한다. 하지만 그리드 시스템에 너무 Tip
얽매이면 딱딱하고 재미없는 스타일이 나오 전자 출판
과거의 전통적인 출판물은 모두 수
기 때문에 그리드를 벗어난 페이지를 추가하 작업으로 제작되었다. 전자 산업
이 발전하면서 출판물 제작에도 컴
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 퓨터가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특히
DTP(DeskTop Publishing)의 등장은
출판 산업 현장을 크게 변화시켰다.
[그림 Ⅳ-19] 다단 그리드의 변화
2. 편집 디자인 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