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 고등학교 디자인 일반 교과서
P. 23
3 형태
인간은 주로 시각과 촉각을 통해 형태를 지각하기 때문에, 형태는 색과 함께 디자인 하나 더 알기
의 감각적 경험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 자연적 형태: 구상적, 유기적 형태
• 인공적 형태: 추상적, 기하학적 형태
형(shape)이 외관으로 나타나는 윤곽(윤곽선, 면)이라면, 형태(form)는 좀 더 넓 • 추상적 형태: 순수 형태, 점, 선, 면,
입체 등으로 표현
은 의미의 일반적인 형(외형, 형상)과 모양을 나타내며, 구조와 기능을 가지는 대상 • 기하학적 형태: 현실 형태, 구, 원
기둥, 원뿔, 직육면체 등으로 표현
물이다.
디자인에서 형태는 대상물이 추구하는 사용 목적과 일치할 때 비로소 독립된 형태
로서 성립 요건이 충족된다. 자연 상태의 형태를 자연적 형태라고 하고, 인간에 의하여
창조된 형태를 인공적 형태라고 한다.
자연적 형태는 구상적, 유기적 형태라고도 하며 인간은 자연 속에 있는 질서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자연적 형태를 디자인의 중요한 근원으로 삼았다. ঌب ۽द(Aldo Rossi/1931~1997/
이탈리아) ۄ פ(1986년 작) -
인공적 형태에는 추상적 형태, 기하학적 형태, 기능적 형태가 있다. 산업 혁명 이후 기하학적 형태의 주전자. 기능이나
기계화에 의하여 대량 생산을 목적으로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형태의 제품을 만들어야 용도가 달라짐에 따라 형태는 다르
지만, 동일한 원리를 적용한다.
하기 때문에 제품의 형태는 기계 가공이 쉬운 기하학적 형태로 만들어졌다.
최근에는 기술 발달로 복잡한 곡선을 처리할 수 있는 컴퓨터 설계가 가능하고 이
를 가공할 수 있는 정밀 가공 기계가 등장하여 유기적인 형태의 디자인 제품도 많이
나타나고 있다.
֢ҳ ࢎޖ(Noguchi Isamu)의 ইܻ ١ - ߬ܰց ౸హ(Verner Panton)의 ౸హ – 다리가 झ݃ ݽ࠽ܻ౭(Smart Mobility) - 최첨단 충
일본 어부들이 사용하던 종이 초롱을 변형하여 없이 전체가 유연한 곡선으로 이어지는 형태의 의자 전, 동력 기술이 융합된 소형 개인 이동 수단이다.
개발한 등이다. 이다,
2. 디자인의 성립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