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5 고등학교 기업자원통합관리 교과서
P. 215









(1) 생산 능력 계획

생산 능력 계획(CRP, Capacity Requirement Planning)은 기업이 제품 및 서비스 ERP 기출 문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기업의 조직 목표, 장기 수요 예측, 다음 중 생산 계획의 실행 절차로
맞는 것은?
자본 조달 계획 등을 기초로 공장입지와 규모, 기계 및 설비, 인력 배치 등의 장기 ① 생산 계획→주 생산 계획(MPS)
→ 자재 소요 계획(MRP) → 구매
생산 계획에 관한 의사 결정 계획을 말한다. 및 생산 활동 통제
② 생산 계획 → 자재 소요 계획
생산 능력이 너무 작을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는 시장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여 고 (MRP) → 주 생산 계획(MPS) → 구
객을 잃게 되고, 공급이 부족하여 경쟁 업체의 시장 참여가 불가피하게 되며, 고객에게 매 및 생산 활동 통제
③ 주 생산 계획(MPS) → 생산 계
적시에 제품을 공급할 수 없게 된다. 획 → 자재 소요 계획(MRP) → 구
매 및 생산 활동 통제
반대로, 생산 능력이 너무 클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는 생산 관리에 어려움이 커지므로 ④ 생산 계획 → 주 생산 계획(MPS)
→ 구매 및 생산 활동 통제 → 자
생산 계획 및 통제, 인력 관리, 시설 정비가 필요하고, 공급 과잉으로 가격이 하락하게 재 소요 계획(MRP)
되며, 시설 과잉 투자로 자금 압박에 시달릴 수 있고 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유휴 생산

설비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기업의 상황에 맞는 적절한 생산 능력 계획이 필요하다.


(2) 총괄 생산 계획
총괄 생산 계획 (APP, Aggregate Production Planning)은 장기 생산 계획을 기초로

월별 생산 수준, 인력 수준, 재고 수준 등을 결정하는 중기 생산 계획을 말한다. 즉, 총
괄 생산 계획은 기업이 수요나 주문의 시간적·수량적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생산

및 재고 시스템 능력을 전체적으로 파악하여 조정해 나가는 계획이라고 할 수 있다.
총괄 생산 계획을 세울 때는 변화하는 수요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를 전략적으로
결정해야 한다.


 수요 변동에 대비한 총괄 생산 계획의 전략 대안
수요
전략 대안
증가 감소

고용 수준 변동 추가 고용 인원 감축
생산율 조정 잔업, 하청/설비 확장 조업 단축
재고 수준 조정 재고 확충 재고 감축
납기 조정 납기 지연 납기 준수
















2. 생산 계획과 통제 213






기업자원통합관리-본문4(206-239)-0515.indd 213 2017-07-17 오후 12:02:21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