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0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230









3 기계 설비의 안전화 방안

기계 설비에 대한 안전은 설계 과정에서부터 적용되어야 한다. 즉, 기계 설비의 설 TIP

계, 제작, 설치, 사용 등의 공정에 맞는 안전화 방안이 각각 확보되어야 하는 것이다. 로봇 작업장 연동 장치
로봇이 작동되고 있는 작업장에 인
간의 착오로 접근하게 되면 작업 중
이던 로봇이 센서의 감지를 통해 자
•설비의 고장과 파손은 인적ㆍ물적 피해 동반됨. 기계 설비는 특성에 따라 외부 돌출부와 회전부가 동으로 정지하도록 되어 있는 안전
• 초기 설계나 제작 시 적정 재료의 선정, 충분한 강 노출되어 있거나 예리한 부분이 많으므로 설계 단 장치를 말한다.
도의 유지, 적정 안전율 적용, 제작에 따른 신뢰성 계에서 미리 개선해야 함.
의 확보가 중요함.

 기계의 결함, 설계의 잘못, 가공의 잘못, 사용  돌출부·감전 우려 부분 내장 및 덮개 설치,
상의 잘못 등 공장
공장 내 안전 색채 사용 등 내 안전 색채 사용 등
구조의 안전화 외관의 안전화



로봇 작업장



풀 프루프(fool proof)
작업의 안전화 기능의 안전화 기계 설비나 작업 도구 등에 이상이
있거나 잘못 조작하더라도 위험한
상태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으
사고의 직접 원인인 불안전한 행동과 상태는 재해 기계 설비 중 반자동 또는 자동 제어 장치를 사용하
로, 기계나 설비를 설계할 때 사용
로 이어지므로 사고의 직접 원인을 미리 제거하여 는 경우 전압 강하, 정전, 단락 또는 스위치나 릴레
되는 기본 개념
안전한 작업 환경 조성에 힘써야 함. 이의 고장, 사용 압력 변동, 밸브 계통 고장으로 인
한 오작동 등을 고려해야 함. 페일 세이프(fail safe)
인간 또는 기계의 과오나 오작동이
 작업 공간의 확보, 안전한 통로 및 계단의 확  회로의 개선, 풀 프루프(fool proof), 페일 세 있더라도 사고 및 재해가 발생하지
보, 조명 및 소음 개선 등 이프(fail safe) 기능 적용 등 않도록 2중, 3중으로 안전 장치를
한 시스템
[그림 Ⅳ-12] 기계 설비의 안전화 방안




공업 자료실 무재해의 3대 원칙



무(無)의 원칙
사업장 내의 모든 잠재적인 위험 요인을 사전에 적극적으로 발견하고 해결함으로써 산업 재해의
근원적인 요소들을 없앤다.

안전 제일의 원칙
사업장 내에서 행동하기 전에 잠재적인 위험 요인이 없는지 먼저 파악하고, 이를 해결함으로써 재
해를 예방한다.


참여의 원칙
작업에 따르는 잠재적인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원 모두가 각자의 위치에서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
한다.

228 IV. 산업 안전과 환경 오염






공업일반_4단원 김영수 0426.indd 228 2017-08-30 오후 2:32:40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