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0 고등학교 프로그래밍 교과서
P. 180











직업 속으로 꿈&끼
데이터 세상의 개척자...


빅데이터 분석가










산업화 시대의 ‘철’과 ‘석탄’이, 정보 시대의 ‘인터넷’이 핵심 자원이었다면,
스마트 시대에는 ‘빅데이터’가 핵심 자원으로 떠오르고 있다. 스마트
폰·SNS·사물인터넷(IoT) 확산 등에 따른 데이터 폭증으로 만들어
진 빅데이터는 의료·행정·소매·제조·개인 정보에 적용할 경우

생산성을 추가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IBM이 실패했던 영-불
자동 번역 시스템을 구글이 수억 건 데이터로 50여 개 언어로 자
동 번역에 성공했던 사례처럼 과거에는 불가능했던 많은 일들이 빅데이
터를 통해 현실화되고 있다.
빅데이터는 ‘자체’로도 가치가 있지만 ‘활용’을 했을 때 진정한 가치를 발

휘한다. 이는 마치 원석을 가공해 보석이 되는 과정과도 같다. 원석도 보석
세공사가 누구냐에 따라 가치가 달라지듯, 빅데이터 역시 이를 활용할 수 있
는 데이터사이언티스트에 따라 가치가 달라진다.

[출처: , 「21세기 데이터 연금술사 ‘데이터사이언티스트’」, 2014. 03. 03.]










빅데이터 분석가가 하는 일은



빅데이터 분석가는 각종 분야( 웹, SNS,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된 대량의 자료를 관리하고 다양한 통계 기법과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기법을 동원하여 자료를 분석하여 사람들의 행동 양식이나 경제 활동 예측을 위한 정

보를 제공한다.
빅데이터 분석가는 각종 소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고, 다양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자료를 체계적으로
저장하고, 각종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그 결과는 보고서, 인포그래픽 등을 이용하여 시각화
하여 정보를 제공한다.







178 Ⅱ. C 프로그래밍의 기초





(책)2015프로그래밍-교과서3차심의본 본문.indb 178 2017-09-05 오후 4:16:41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