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6 고등학교 컴퓨터 그래픽 교과서
P. 176










2 인터페이스 디자인 화면 구성의 원리

정보 페이지 간에 의미 있는 관계를 설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

고 그 정보를 어떻게 경험할 것인지를 결정 짓도록 인터페이스 화면을 계획하고 구성
해야 한다.


(1) 화면 구성 요소
인터페이스 디자인 화면의 구성은 대상이 되는 사용자를 파악한 후 사용자의 다양

성을 고려하여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과 유사한 인터페이스를 사
용해야 한다. 그래서 자신이 직접 조작하고 시스템을 통제할 수 있도록 배우기 쉽고

사용하기 간편하도록 설계해야 한다.
① 레이아웃(Layout)

레이아웃은 본래 설계 또는 배치를 뜻하는 용어로서, 일정한 공간에 여러 가지 구성
요소들이 배치되는 방식을 말한다. 웹 페이지의 레이아웃은 정보의 배치 기준을 제공
하므로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려면 제작할 웹 사이트의 성격과 유

형을 파악한 후 레이아웃을 결정해야 한다.
디자이너가 레이아웃을 할 때에는 기본 조건인 주목성, 가독성, 명쾌성, 조형성, 창 Tip
모바일 아이콘
조성 등을 충분히 고려하고,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내는 종합적인 구성력과 조합 능
력을 갖추어야 한다.



















[그림 Ⅲ-32] 다음세대재단 ‘유스보이스’ 홈페이지의 메인 화면 화면 중앙에 멀티미디어 휴대폰의 다양한 기능과 앱 등을 그
를 활용한 동영상 콘텐츠를 삽입하여 좀 더 직접적이고 즉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림이나 기호로 표시한 것으로, 사용
전달하는 레이아웃을 적용하였다.
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해
준다.
② 아이콘
웹이나 모바일 환경에서 아이콘은 긴 설명 없이도 사용자에게 보다 명확하게 의미 레이블링(labeling)
웹 사이트의 카테고리와 서브카테
를 전달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할 때는 사용자가 아이콘만 보아도 내비게이 고리를 구성하며 이름을 붙이고 체
션이 의미하는 바 혹은 레이블링(labeling)된 링크가 어떤 것인지 잘 파악할 수 있도 계성을 설계하는 작업
록 작업해야 한다.


174 Ⅲ. 컴퓨터 그래픽 요소 제작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