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16 고등학교 컴퓨터 그래픽 교과서
P. 316
(2) 투사형(projected type) 가상 현실
투사형 가상 현실은 컴퓨터가 창출한 대형 스크린의 가상 세계에 사용자가 자신의
이미지를 결합하는 가상 현실 구현 방식이다. 즉, 컴퓨터가 합성한 가상 세계와 사용
자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창조한 가상 세계이다. 예를 들어, 볼을 배트로 치면 자신의
컴퓨터 화면의 모습도 이를 따라 하게 되고 소리와 느낌을 실제처럼 느낄 수 있다. 이
방식은 주로 오락용으로 사용된다.
(3) 몰입형(immersion type) 가상 현실
사용자가 입체형 HMD를 머리에 쓰면 컴퓨터가 합성한 임의의 3차원 가상 공간에 HMD(Head Mounted Display)
안경처럼 머리에 쓰고 대형 영상을
서 자신의 움직임에 따라 주위 환경이 변하는 모습을 인식하여 마치 가상 공간에 자
즐길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 휴대
신이 실제로 있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이 방식은 주로 산업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하면서 영상물을 대형 화면으로 즐
기거나 수술이나 진단에 사용하는
있다. 예컨대 비행기 엔진을 디자인할 때 미리 가상 엔진을 만들어 정비하여 기술적 의료 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차세대
영상 표시 장치이다.
문제를 찾아내거나 자동차 내부를 가상 현실로 구현하여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었는
지 검토해 볼 수 있다.
[그림 Ⅳ-45] 투사형 가상 현실 [그림 Ⅳ-46] 몰입형 가상 현실
현실과 가상 현실의 움직임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버추얼 사무실 공간이 적절히 설계되었는지 검토할 수 있는 HMD
라이저’ 가상 현실 시스템을 건강관리에 적용한 사례 시스템
(4) 원격 조작(telepresence) 가상 현실
원격 조작 가상 현실은 각기 다른 장소에서 실제로 존재하는 세계를 보거나 또는
인터페이스 할 수 있는 방식이다. 원격 조작 가상 현실을 활용하여 사용자는 원격지
에서 목표 지역의 환경을 보면서 로봇 등을 이용하여 물건을 나르는 등의 활동을 할
수 있다. 이 방식은 원격 수술을 하거나 물속, 우주 공간, 화산 지역 등 인간이 접근
하기 힘든 위험한 지역에서 로봇 등을 이용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해준다. 단, 반드시
전파 송수신이 가능한 장소이어야 한다.
314 Ⅳ. 컴퓨터 그래픽 디자인의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