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2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P. 42









자기중심적 사고 유아기 | 유아기는 만 2세부터 6세까지의 시기이다. 언어 능력이
자신의 처지에서 모든 사물을 보고, 다
른 사람의 처지를 이해하지 못하는 특 급속히 발달하고 사고의 범위가 넓어지며, 부모와의 대화나 또래와
성으로, 자기 눈을 가리면 상대방도 자
의 접촉을 통해 기본적인 사회화가 이루어지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신을 볼 수 없다고 믿기도 한다.
유아의 상상력 발달
유아기 발달 특징
유아기의 특징으로. 자신의 눈앞에 없는
것을 상상하는 능력이 생긴다.

신체·운동 • 근육과 골격이 지속해서 발달하며 신체 비율이 성인과 비슷해진다.
체육
기능 발달 • 대근육과 소근육을 이용한 신체 조절 기능 및 운동 기술이 빠르게 발달한다.
놀이와 발달 엄마, 나 이제
• 신체 놀이 : 달리기, 춤추기 등의 • 유아기 초기에는 물건이 살아 있다고 생각하는 등 상상력이 발달한다. 안 보이지?
놀이는 운동 발달을 돕는다. 언어·지적 •논리 체계나 상대방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주관적이고 자기중심적 사고를 한다.
• 블록 놀이나 그림 그리기, 종이접 발달 • 어휘, 문법, 문장 사용 등이 급속히 발달하여 다양한 문장을 구사한다.
기, 퍼즐 맞추기 : 손의 기능과 두 • 대부분 자기중심적 언어를 쓰며 은유와 비유적인 표현을 자주 사용한다.
뇌 발달을 돕는다.
• 소꿉놀이, 병원놀이 : 역할극을 • 거의 모든 정서가 분화, 발달하며, 독립심이 발달한다. 부모나 주변 사람들에게 인정받으려 하며
하며 규칙을 알게 되는 등 사회성 자신의 성취에 대해 자부심을 느끼므로 꾸중을 들으면 상처받거나 예민하게 반응한다.
정서·
발달을 돕는다. • 호기심이 많아 주변의 사물을 만지거나 스스로 조작해 보려 하고, 부모나 어른의 행동을 모방하려고 한다.
사회성
발달 • 3세 후반부터는 성별을 구별하며, 성의 차이에 흥미를 보이기 시작한다.
• 또래 친구들과 놀며 사회성이 발달하고 사회 규범을 배우며, 다른 사람의 감정을 알게 되면서 양심
과 도덕성을 키우게 된다.
유아 돌보기

• 유아기 놀이는 언어, 정서·사회성 발달의 기회를 제공하므로 • 언어와 함께 인지적인 발달이 급격하게 이루어지므로 언어
적절한 놀이 재료와 또래와 놀 기회를 제공한다. 적 자극 외에 다양한 학습과 관련된 자극을 주어야 한다.
놀이 지도 언어 지도
• 자신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많은 언어적 상호 작용 • 질문이 많은 시기이므로 성실한 답변으로 탐구심을 자극
을 하며 집단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하고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여 지적 발달을 도와야 한다.


• 기본 생활 습관이 형성되는 시기이므로 지켜야 할 규칙과 생활 습관을 가르쳐야 한다. 처 • 바람직한 정서 발
음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미숙해도 기다려 주고 적절한 칭찬과 격려를 해 주는 것이 좋다. 달을 위해서는 무
안전·생활 • 인사 예절이나 공공 시설물, 놀이 도구 등을 아껴 쓰고 양보하기, 순서 기다리기, 교통 규칙 지키기 정서 지도 엇보다 애정을 느
습관 지도
등 집단생활에 필요한 습관을 익혀 사회인이 지녀야 할 기본 자질을 갖추도록 한다. 낄 수 있는 환경을
• 추락과 화상 위험을 알게 하고, 실생활에서 흔히 노출되는 소방 안전, 보행 안전을 지도한다. 조성하는 것이 필
• 불이 났을 때나 다른 사람이 억지로 데리고 가려 할 때는 소리를 질러 주변에 알리고 도움을 구하 요하다.
도록 가르치고 응급 전화도 알려 준다.










식사 위생 옷 입고 벗기 물건 정리 잠자기
숟가락과 젓가락을 사용하 식사 전, 배변 후, 외출에서 입고 벗기 쉬운 옷을 선택 놀고 난 후에는 아이에게 성장을 위해 일찍 자고 일
여 스스로 먹게 한다. 골고 돌아와 손을 씻고, 식후나 하고, 오래 걸리더라도 혼 맞는 수준의 정리를 시킨다. 찍 일어나도록 하고, 일정
루 먹고, 음식을 남기지 않 잠자기 전에 양치를 하도록 자 하도록 격려한다. 한 시간에 낮잠을 재운다.
도록 지도한다. 지도한다. 자기 전 소변을 보게 한다.

그림 Ⅱ–2 유아기 생활 습관 지도

40 II. 자녀 돌보기와 가족 문화 BIG 인간은 어떻게 성장하고 가족 내에서 어떤 관계를 맺으며 살아갈까?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