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0 고등학교 미술_미술 창작_미술 감상과 비평 교과서 브로슈어
P. 60









캔버스와 붓에서 벗어난 미술 작품 미술과 수학의 만남 미술 작품 속에는 어떤 수학적 원리가 숨겨져 있을까?
용 어 알 기
1960년대에 시작된 비디오 아트는 비디오 합성 기기를 이용하면서부터 돋보이게 되었고, 회화
미디어 파사드(media facade) 용 어 알 기
와 조각의 경계를 허물었을 뿐 아니라 종이와 캔버스 등의 평면적이고 고정적인 이미지에서 탈 회화와 건축 작품은 객관적이거나 안정적인 아름다움을 구현하기 위해 수학적 원리를 이용하
프로젝터를 통해 대상물의 표면에 영상 피보나치수열(Fibonacci Sequence)
피하여 영상의 움직임을 통해 메시지 전달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현대의 영상과 정보 기술의 을 투사하여 존재하는 대상과 다른 성 였다.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자신이 경험하는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수학적, 과학적으로 분석하기 앞의 두 수의 합이 바로 뒤의 수의 값이
격처럼 보이게 하는 기술 되는 수의 배열
발달은 작품 제작에서 기술과 예술의 경계를 허물고 아름다움에 대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였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다. 브네는 뫼비우스의 띠, 방정식과 도표 등 수학적 기호를 예술적인 방
립 모션(leap motion) 테셀레이션(tessellation)
다. 또한 영상과 컴퓨터를 이용한 2D 또는 3D 이미지로 재생산되거나 새롭게 영상 매체를 활용 센서를 통해 관객의 몸동작을 알아보고 식으로 표현해 기호가 가지고 있는 단의성과 철학적 개념을 이미지로 형상화하였다. 같은 모양의 도형을 틈이나 겹침이 없
하여 건축과 조각 등에 투사된 형상들은 깊은 공감과 감명을 주기도 한다. 반응하는 장치 이 늘어놓아 완전히 메꾸는 것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실제 환경에 가상의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보여 주는 기술













확대한 무늬

알람브라 궁전(13세기 후반/에스파냐 그라
나다) - 꽃과 식물 모양의 아름다운 무늬들이
레오나르도 다빈치(Leonardo da Vinci/ 전체의 모습과 유사한 형태로 반복하는 테셀
풍남문 빛의 옷을 입다(미디어 파사드/2016년/ 이탈리아/1452~1519) 모나리자(나무 판에 레이션을 통해 정교한 아름다움을 나타내고
전라북도 전주) 유채/53×77cm/16세기경) - 작은 그림에 황 있다.
금 비율, 피보나치수열을 적용하여 이상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하였다.
가상 현실에서의 상호 작용적 표현
과학 기술의 발달은 가상 공간에서의 증강 현실을 통해 다양한 예술 표현을 가능하게 했으며, 브네(Venet, Bernar/프랑스/1941~ ) 두 세퀸(Séquin, Carlo H/스위스→미국/1941~ )
개의 금색 타원과 ‘명제X’(아크릴/234× 복잡하게 얽힌 4개의 나비 넥타이(ABS
설계된 프로그램에 따라 관객의 행동이나 주변 환경에 반응하여 작품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인터 428cm/2014년 작) - 수학 기호의 겹침과 반 플라스틱, FDM 기계에 인쇄)/23×23×
복, 비결정적 선을 통하여 수학적 개념을 조 23cm/2014년 작) - 세퀸은 수학의 매듭을
랙티브 작품이 등장하여 다양한 체험과 참여로 이어지고 있다. 형적 아름다움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용한 기하학적 추상을 표현하였다.


미술과 음악의 만남 음악과 시각 예술을 더하면 어떤 효과를 만들 수 있을까?



미술은 평면 또는 입체의 공간에 가시적으로 표현한 시각 예술이고, 음악
은 시간에 대한 질서와 조화를 구현하는 청각 예술이다. 이 둘은 표현 예술
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음악은 보다 높은 감동을 전달하기
위해 무대 연출 및 뮤직비디오 등에서 시각적인 요소와 청각적인 요소가 함

께 어우러진 공감각적인 표현을 하고, 미술은 음악의 청각적 요소를 작품에
응용하여 시간과 청각의 개념이 삽입된 새로운 미학적 가치를 만들고 있다.


비가 내리는 방(R사/2015년/영국) - 빗방울처럼 천장에서 물이 떨어지는 방이지만 3D
센서와 카메라 등의 립 모션 장치를 이용하여 방 안을 걷는 관람객 주변에는 물이 떨어
지지 않게 했다. 물이 떨어지는 방에 있으면서 전혀 젖지 않는 초현실적인 체험을 할 수
있다. 제럼(Jerram, Luke/영국/1974~ ) 아이올로스-어쿠스틱 바람관(스테인리스강/
1080×235×763cm/2011년 작) -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된 아치형 조형
물은 바람을 낮은 주파수의 소리로 증폭하고 관람자는 바람에 따른 음향의
틸트 브러시(Tilt Brush/G사)라는 VR 전용 앱을 이용하여 3D 가상 현실 공간에서 자유자재로 이동하 변화를 시각적 요소와 함께 공감각적으로 느끼고 경험할 수 있다.
며 그림을 그릴 수 있다. 2개의 VR 컨트롤러로 X, Y, Z 축을 이용하여 공간을 회전하고 브러시를 이용
해 반짝이는 효과 등 여러 효과를 낼 수 있다.


카일르(Cailard, Leo/프랑스/1985~ ) 예술 게임(사진/2012년 작) - 작가가
상상한 미래의 미술관 모습을 컴퓨터 그래픽으로 합성하여 제작한 것으로 R그룹(한국) 행복(2014년 작) - 알록달록하고 선명한 영
미술관에 걸려 있는 액자 속 그림들이 태블릿 PC 속으로 옮겨와 조작이 가 상미가 인상적인 뮤직비디오로 시각적 효과만으로도 생
능하도록 바뀌었다. 동감 넘치는 행복한 기분을 느낄 수 있게 한다.
92 58 59 2. 융합하여 표현하기 93
92 Ⅴ . 연계와 융합





2015 미술창작-5단원.indd 92 2017-08-07 오후 5:52:32 (책)2015 미술창작-3차 제출용.indb 93 2017-07-28 오후 5:33:52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