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8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브로슈어
P. 58
소단원 학습 내용 정리 PDF/HWP 제공 PDF/HWP 제공
소단원 학습 내용 정리 관련 교과서 쪽수(166-171쪽)
VIII-02 산업 재해 예방
[1] 산업 현장에서는 어떤 안전사고가 발생할까? ② 산업 재해의 사례별 예방법
• 바닥 특성에 적합한 미끄럼 방지 안전화를 착용
1. 산업 재해 한다.
① 재해 : 인위적인 사고나 천재지변에 의해 발생하는 인 작업장 • 물기나 기름기가 바닥에 남아 있지 않도록 청소
명과 재산의 손실 바닥에서의 한다.
② 산업 재해 : 근로자가 사업주에게 고용되어 생산 활동 넘어짐 예방법 • 바닥에 물기가 남지 않도록 배수로를 정비한다.
• 정리 정돈으로 안전 통로를 확보하고, 근로자용
을 하던 중 사고나 질병으로 발생하는 인명과 재산의
통로 구획을 표시한다.
피해
• 접촉 등에 의한 감전 방지 대책을 마련한다.
③ 산업 재해의 원인
• 전기 작업을 할 때는 전기 절연용 보호구를 착
• 근로자의 과로나 기기 상태의 불안정 용한다.
• 완벽한 환경에서 근로자의 부주의 감전 예방법 • 전류가 흐르는 부분이 인체와 접촉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접촉의 우려가 있는 전선에는 파손 방지 커버
2. 산업 재해의 유형
등 방호구를 사용한다.
∙ 떨어짐: 높은 곳에서 사람이 떨어짐.
• 작업장 내에 안전 통로를 설치하고 통로 구획을
∙ 깔림 : 쓰러지거나 뒤집힌 물체에 깔림.
표시한다.
∙ 넘어짐 : 사람이 미끄러지거나 넘어짐.
작업장 내에서의 • 지게차 운전자의 해당 작업에 대한 위험 예방
∙ 맞음 : 날아오거나 떨어진 물체에 맞음. 부딪힘 예방법 대책을 수립한다.
∙ 무너짐 : 건축물이나 쌓인 물체가 무너짐. • 지게차에 접촉되어 근로자가 위험해질 우려가
∙ 부딪힘 : 물체에 부딪힘. 있는 장소는 근로자의 출입을 통제한다.
∙ 끼임 : 기계 설비에 끼이거나 감김. • 구조적 안전성을 검토한 후 작업을 실시한다.
∙ 감전 : 전기 접촉, 방전으로 충격을 받음. • 버팀대를 설치하여 무너짐 방지 조치를 한다.
• 충분한 안식각을 유지하고 간이 흙막이 지보공
무너짐 예방법
을 설치한다.
3. 산업 재해의 예방
• 굴착 작업을 할 때 기존 관로에서 누수가 발생
① 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 하지 않도록 조치한다.
불안정한 사회 환경과 근로자의 개인적인 결함이 불완전
한 행동, 즉 부주의로 이어지고, 부주의가 사고를 일으켜
재해 발생
• 사회 환경이나 인간의 결함은 고치기 쉽지 않음.
• 인간의 불안전한 행동이나 기계적·물리적 위험과 같은 2. 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재해는 어떻게 예방할 수 있
요인을 사전에 없앤다면 산업 재해의 효과적 예방 가능 을까?
① 생활 속 안전 사고: 일상생활에서도 사소한 위험에 주의
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
를 기울이지 않아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 1단계: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바람직하지 않은 유전적
② 생활 속 재해 사례
특성 및 인간 성격을 바람직하지 못하게 할 수도 있는 사
회적 환경 • 부딪힘 : 스마트폰을 보면서 걷다가 자동차에 부딪힘.
• 2단계: 개인적 기질에 의한 결함(과격한 기질, 신경질적인 • 끼임 : 무리한 탑승으로 신체나 옷이 끼임.
기질, 무모함 등)
• 화재 : 불 위에 주전자를 올려놓고 외출했다가 불이남.
• 3단계: 불안전한 행동(인적 요인) 또는 불안전한 상태(물
• 감전 : 젖은 손으로 플러그를 뽑다가 감전됨.
적 요인)
• 4단계: 생산 활동에 지장을 초래하는 모든 사건 • 넘어짐 : 욕실에서 바닥의 물에 미끄러짐.
• 5단계: 사고의 최종 결과, 인명의 상해나 재산상의 손실 • 떨어짐 : 베란다에서 놀다가 떨어짐.
56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