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1 중학교 진로와 직업 지도서
P. 31
• 진로 장벽 제거 및 극복 방안 탐색은 학생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단원이 아님을 유의한다. 학생이
처한 진로 인식 수준 및 현실적인 제약 조건을 극복하기 위하여 역할 모델 탐색은 좋은 방법일 수 있
다. 진로 장벽 제거 및 극복 성공 사례를 독서 활동 및 동영상 시청, 실제 멘토와의 만남 등을 통해
학생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내적 동기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 진로 목표 설정 및 진로 학습 계획 수립은 개인의 적성 및 가치관, 환경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므로 정답을 요구하지 않는다. 『진로와 직업』 과목 수업은 학생의 자기 주도적인 진로 발달을 촉진하
는 것을 목표로 한다.
라.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
1 교수·학습
(1) 교수·학습 방향
(가) 선택 과목으로서 『진로와 직업』은 한 학년에 편성하여 이수할 것을 권장한다. 그러나 학교의 여건 교수·학습: 『진로와 직업』 교과의 성
격이나 특성에 비추어 포괄적 측면에서
에 따라 한 학기 또는 그 이상의 학년으로도 편성할 수 있다. 교수·학습의 철학 및 방향, 교수·학습
의 방법 및 유의 사항을 제시한다.
(나) 『진로와 직업』 수업은 창의적 체험 활동의 진로 활동, 타 교과의 교과 통합 진로 교육과 연계하여
전반적인 중학교 진로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활용되어야 한다. 이를 고려하여 학교 전반에
걸친 진로 교육 활동에서 『진로와 직업』 과목의 성격을 규정하고, 다른 교과목이나 창의적 체험 활
동과의 연계를 토대로 지도 계획을 수립한다.
(다) 『진로와 직업』 수업은 본 교육 과정의 취지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진로와 직
업』은 융합·연계 교육, 학습자 중심 교육, 총론의 6개 핵심 역량 및 『진로와 직업』의 4개 역량 계
발을 교수·학습 설계의 방향으로 한다.
(라) 교수·학습의 중점은 학습자 스스로의 탐구와 흥미에 두도록 한다.
(마) 『진로와 직업』 수업은 차시별로 이루어지는 수업의 과정에 초점을 둔다. 또한 학생 스스로 자신과
직업 및 교육 세계를 탐색하는 데 중점을 두도록 하며, 모든 영역에서 학생 중심의 체험과 활동 중
심의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다. 또, 학생 주도적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개별 학습
과 집단 학습 방법 등을 충분히 활용한다.
(2) 교수·학습 방법
(가) 흥미 있는 학습이 될 수 있도록 진로 및 직업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특
히 진로 및 직업 관련 온라인 전산망, 직업 사전, 관련 동영상, 성공 사례집, 신문 스크랩 등을 활
용하여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 학생 주변의 일상생활과 연계한 진로 탐색을 촉진한다.
(나) 수업의 주제에 따라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며, 일반적으로 『진로와 직업』 수업에 활용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의 예는 다음과 같다.
•강의: 교사의 프레젠테이션, 교과서 내용 설명
•토론 학습: 직업인과의 만남 등을 통한 교수자와 학생과의 대화
• 문제 해결 학습, 프로젝트 학습: 프로젝트 및 문제를 기반으로 학생이 자기 주도적으로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 가는 데 주안점을 두는 방법
•협동 학습: 학생 소집단 활동, 역할극 활동, 토의·토론 활동
Ⅰ. 2015 개정 『진로와 직업』 교육 과정의 이해 29
중등직업_지도서_총론_(010~043)_3.indd 29 2017-07-25 오후 1: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