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5 고등학교 컴퓨터 그래픽 교과서
P. 35









1 컴퓨터 그래픽의 제작 원리


길잡이 컴퓨터 그래픽의 제작 원리 중 벡터 방식과 래스터 방식은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

Tip
오브젝트(object)
컴퓨터 그래픽은 관련 프로그램과 이미지의 사용 목적에 따라 결과의 형태를 2차원 벡터 형식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로,
또는 3차원으로 표현할 수 있다. 컴퓨터에서는 이러한 표현을 수많은 점들로 나타내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가 모여 벡터
이미지를 만듦.
는데, 점의 구현 방식에 따라 벡터 방식과 래스터 방식으로 나뉜다.


1 벡터(Vector) 방식 벡터와 래스터 이미지 비교


객체 지향(object-oriented) 방식이라고도 하며, 점, 선, 면 세 가지로 이미지를 표
현한다. 도형, 글자, 문양 등을 그래픽 화면에 나타낼 때 각 정보를 수학적 연산으로

표현하는 방식이다.



2 래스터(비트맵) 방식

각각 하나의 점(픽셀)에 비트를 할당한 다음, 정보의 상태를 0 또는 1로 표현하고, (a) 원본

이러한 정보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완성된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식이다. 래스터 방식
은 픽셀을 기초로 하여 모자이크 방식으로 구성되며 비트맵 방식이라고도 한다. 상세
한 명암이나 색상을 표현할 수 있어 사진이나 영상 정지 화면 등 컬러의 점진적 변화

를 표현하는 데 적합하다.
(b) 벡터 이미지 (c) 래스터
이미지
[표 Ⅰ-1] 벡터와 래스터 방식의 비교
구분 벡터 래스터(비트맵)
점과 선, 도형 등 아주 작은 문자도 나타낼 수
픽셀마다 색상 정보와 위치 정보를 담고 있어
특징 있으나 다양한 색상이나 자연스러운 효과는 내
다양한 색상과 자연스러운 표현이 가능함.
지 못함.
크기가 변해도 용량이 달라지지 않아 해상도 웹용 72dpi, 인쇄용 300dpi
해상도
차이가 없음. 해상도가 낮을수록 선명도가 떨어짐.
점, 선, 면의 위치와 색상 값(두께 수치 정보를 픽셀(여러 가지 점들이 모여서 하나의 완성된 길잡이 정리
구성 요소
가지고 이미지를 표현함.) 그림을 표현함.) 벡터 이미지와 래스터 이미지의 차
고해상도일수록 이미지 용량이 커지고, 처리 이점
용량 확대해도 용량이 바뀌지 않음.
속도가 느려짐. 벡터 이미지는 점과 선, 도형 등 아
확대 시 이미지와 파일 용량의 변화가 없어 선 이미지 확대나 축소 시 계단 현상 같은 이미 주 작은 문자도 나타낼 수 있고, 크
확대했을 때
명도가 떨어지지 않음. 지 손상이 생김. 기가 달라져도 용량이 변하지 않아
해상도에 차이가 없으나, 다양한 색
대표적인
파일 포맷 AI, EPS, CDR 등 PSD, JPEG, GIF, PNG, TIFF, BMP 등 상이나 자연스러운 효과를 표현하
제작 지 못한다. 래스터 이미지는 픽셀마
프로그램 일러스트레이터, 플래시, 코렐드로우, 오토캐드 등 포토샵, 페인터, 페인트샵 프로, 그림판 등 다 색상 정보와 위치 정보를 담고
마크, 로고, 문자, 캐릭터, 일러스트, 편집, 타이 있어 다양한 색상과 자연스러운 표
사진, 영상 화면, 모자이크, 풍경화, 인물화, 잡 현을 구현하지만 이미지를 확대하
사용 범위 포그래피, 웹 디자인, 아이콘, 버튼, 웹용 애니메
지, 포스터, 카탈로그 제작 등 거나 축소할 때 이미지가 손상되어
이션 프로그램 소스, 포트폴리오, 픽토그램 등
계단 현상이 생긴다.

3. 컴퓨터 그래픽의 제작 원리와 요소 33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