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 고등학교 기업자원통합관리 교과서
P. 22
기업 자원 통합 관리의 필요성과 특징
학습 •기업 자원 통합 관리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고객이 우리 제품 50개를
목표 •기업 자원 통합 관리의 구축 및 구축 단계를 설명할 수 있다. 주문했는데 재고가 몇 개 있는지 재고가 55개
•기업 자원 통합 관리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창고에 가봐야겠는데…… 있습니다.
아니, 어떻게
핵 심 질 문 기업을 경영하는 데 정보 기술(IT)이 왜 필요할까? 알았지?
1 기업 자원 통합 관리의 필요성
기업 자원 통합 관리의 도입은 많은 예산이 요구되는 기업의 주요 경영 의사 결정
사항이다.
오늘날 기업이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기업 자원 통합 관리를 도입하는 것은 ERP의
활용으로 프로세스를 표준화하고, 정보와 물류의 완벽한 통합과 기업 내・외부 정보
의 연동 및 각종 정보의 실시간(Real Time) 분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1 기업 자원 통합 관리의 도입
기업은 기업 자원 통합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여 기업의 경영 혁신(BPR,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을 이루고 업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그 도입 효과는 경 ERP TIP
BPR(Business Process
영 활동의 효율성 및 경쟁력 우위 확보 측면에서 나타난다. Re–engineering, 경영 혁신)
기업 자원 통합 관리의 도입 시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다. 미국의 마이클 해머(M. Hammer)
박사가 처음 제시한 개념으로, 핵
심은 경영 목표 달성에 적합하도록
기업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분석
표준 체계 하여 중복적이고 생산성이 낮으며
표준 체계
정립 낭비적인 일을 재설계하고, 조직이
정립
나 사업 분야, 사업 내용 등을 재구
부문 간 의사 결정 성하여 낭비를 줄이고 성과를 높이
의사 결정
부서간
업무 공유 ERP 도입의 지원 는 것이다.
지원
업무 공유
기대 효과 ERP 기출 문제
ERP 도입 예상 효과로 볼 수 없는
경영 지표 것은?
경영 지표
경영 혁신 개선 ① 경영 혁신
경영 혁신
개선
② 고객 서비스 개선
③ 결산 작업의 증가
④ 재고 물류 비용 감소
20 Ⅰ . 기업 자원 통합 관리의 기초
기업자원통합관리-본문1(008-075)-0515.indd 20 2017-07-17 오전 11:4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