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1 고등학교 미술_미술 창작_미술 감상과 비평 교과서 브로슈어
P. 41












최해나(학생 작품) 발 냄새(아크릴/55.5×45.5cm) ④ 우리나라에서는 삼국 시대 고분 벽화에서 인물화를 찾아볼 수
대상을 관찰하여 특징이 나타나게 그리기
있다.
모든 풍경은 시간과 계절, 지형에 따라서 특징이 다르며 색상과 분위기

가 다르다. 같은 풍경을 보고서도 각자 보는 시각이 다르므로 표현하고자 (2) 인물의 자세

하는 대상을 관찰하는 것이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한다. 대상의 특징을 파 ① 인물화에서는 자세와 표정, 시선 등으로 작가의 느낌이나 생각을 서
악하도록 소묘로 표현하고, 이를 바탕으로 채색 재료를 사용하여 표현하 전달한다. 또한 색채로 인물의 성격과 분위기를 나타내며, 배경에
면 대상의 특징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의해 그림의 이야기를 깊이 있게 만들기도 한다.
② 일반적으로 인물의 움직임이 강한 자세에서는 생명력을, 움직임이
없는 자세에서는 영원성을 느끼게 한다.
김하은(학생 작품) 피망(수채, 태우기/39.4×
54.1cm) (4) 내 특징을 잘 드러나게 자화상 그리기
① 자신의 특징이 잘 나타나는 방향에서 포즈를 잡는다.
② 고뇌에 빠진 표정, 언짢은 표정, 기쁨이 넘치는 표정 등 특징적인
때는 팔레트에 분무기로 물을 뿌리고 비닐로 덮어 둔다.
표정을 정확하게 포착한다.
③ 파스텔화: 손가락이나 헝겊 등으로 문질러 질감 표현을 하며, 완성 브뤼헐(부)(Bruegel, Pieter(the Elder)/네덜란드/1525∼1569) 눈 속의 사냥꾼(나무판에
후에는 정착액을 뿌려 보관한다. 유채/118×81cm/1565년 작) - 추운 겨울 언덕 아래로 눈 덮인 마을의 정경이 펼쳐지고, ③ 자화상은 자아 표현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심리 표현을 위해 의
사냥꾼들이 눈 속에 사냥을 떠나는 모습이 보인다. 이 일상적 풍경 속에서 우리는 계절, 상과 소도구 등의 배경을 활용한다.
④ 수채화: 물체의 밝은 부분부터 전체적인 색조를 파악하여 그린다.
시간, 날씨의 변화를 읽어 볼 수 있다.
물의 양을 조절하여 겹침, 번짐, 흘림 등의 기법으로 질감 표현을 ④ 눈, 코, 입, 귀 등의 위치와 크기는 얼굴 전체와의 비례를 생각하여
그려 나간다.
한다.
김규리(학생 작품)고목(연필/54.1× 김규리(학생 작품)고목(수채/54.1×
화가들에 의해 본격적으로 그려졌다. 18세기 말경 영국의 터너, 컨 42.1cm)풍경을 채색으로 표현하기 전에 42.1cm)풍경 소묘를 바탕으로 대상의
유화 물감의 탄생 소묘로 표현해 보면 명암이나 형태 등 특징과 현장의 분위기가 나타나도록
스터블 등은 특이한 자연 현상을 그렸고, 19세기에 이르러 자연주 대상의 특징을 파악하는 데 크게 도움이 표현하였다.
유화가 널리 보급되기 이전의 미술가들은 벽에 회칠을 해서 그리는 프
의, 인상주의 화가들이 풍경화를 많이 그렸다. 된다.
레스코화와 달걀노른자를 안료에 섞어 그리는 템페라로 그림을 그렸다. 이
③ 우리나라: 조선 시대 후기에 산수를 직접 보고 그린 진경산수화가
재료들은 수정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미술가들에게는 숙련된 솜씨가 요구
정선에 의해 독자적인 양식으로 나타났다.
되었다. 15세기 초반에 판에이크가 템페라의 단점을 보완하여 만든 것이 4. 인물화
유화 물감이다. 그는 기름과 식물 추출액을 색소에 섞어, 매끄러운 액체 상 (3) 원근감의 표현 방법
태의 윤기 있는 반죽으로 만든 것이 유화 물감이 시초이다. 유화 물감의 ① 색채 원근법: 가까운 곳은 대상의 윤곽선이나 색채를 진하고 선명 (1) 인물화의 특징
등장은 사실적인 표현과 정밀한 세부 묘사를 추구했던 르네상스 화가들 하게, 먼 곳은 희미하게 표현하는 방법이다. ① 인물이 지닌 표정이나 자세, 성격, 분위기 등을 나타낸 그림이다.
에게는 획기적인 기술 혁명이었다. 유화 물감은 마르지 않은 상태에서 다 ② 인물화를 통해 그 시대의 사상과 문화, 역사, 풍속, 종교 등을 알 수
② 투시 원근법: 거리에 따라 일정한 비례로 크기를 다르게 그려서 원
른 물감을 덧칠할 수 있고, 서서히 건조되었기 때문에 여유를 가지고 정성 있다.
근감을 나타내는 방법이다. 소실점(사물의 연장선이 한 점에서 만
들여 자세히 그릴 수 있었다. 유화 물감의
나는 곳)의 수에 따라 1점 투시, 2점 투시 등으로 나뉜다. (2) 인물화의 역사
발명은 풍부한 색조와 세밀한 명암 표현,
① 인물은 오랜 옛날부터 회화의 중요한 소재가 되어 왔으며, 인물화
보존력이 뛰어나 미술사에 커다란 변화를 이유림(학생 작품) 나를 창조하다(수채, 펜, 유다원(학생 작품) 물에 비친 자화상(아크릴
는 그 시대의 문화, 역사, 종교 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가져다주었다. 아크릴/65×48cm) /54.1×44.4cm)
② 원시 시대에는 다산과 풍요의 기원을, 그리스 로마 시대에는 신의
판에이크(동생)(Van Eyck, Jan/1395~1441 형상을 닮은 이상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하였다.
/네덜란드)아르놀피니의 결혼(유채/82×60cm
/1434년 작)-유화로 그린 이 작품은 지금까지도 ③ 처음에는 종교화, 신화 등이 그려지다가 기록화, 초상화 등이 많이
그림 그린 당시의 변색이나 퇴색되지 않고 있다. 그려졌다. 초기의 인물화는 사실적 이고 객관적인 그림이 많았다. 학교 생활 기록부 기재 예시
출처:아르놀피니의 결혼식-Andrew Graham-
1점 투시
Dixon, Art:The Definitive Visual Guide,
O학년 O반 미술과 <주제 탐색과 표현> 과목별 세부능력 및 특기
Dorling Kindersley, 2008.
김홍도(조선/1745∼1806?)무동(수묵 담채/27×22.7
사항 (예시)
cm/18세기) - 북, 장구, 두 개의 피리, 대금, 해금 등
여섯 악기가 한 팀을 이루어 연주를 하고 있다. 그림
속 소년은 이 연주에 맞추어 덩실덩실 춤을 추고 번호 성명 성취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
3. 풍경화 수준
있는데, 무동의 발의 동작을 보면 금방이라도 화면
밖으로 나올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킨다.
(1) 풍경화의 특징 <회화로 표현하기> 수업에서 생업에 종사하고 계시
는 부모님의 모습과 배경으로 소품을 넣어 자신만의
① 풍경화는 지역의 특성뿐 아니라 날씨와 계절, 시간에 따라 달라지 1 이OO A
독특한 투명 수채 기법으로. 표현하였으며, 활동 후
는 다양한 색채와 분위기, 그리고 넓은 공간의 원근감을 표현하기 2점 투시 주변을 깨끗이 정리하였음.
에 좋다.
<회화로 표현하기> 수업에서 매일 들여다보는 거울
② 풍경화는 그 소재가 자연 공간에 넓게 펼쳐져 있으므로 그리고자 이지만 내 마음을 들여다본다는 자세로 거울을 바라
(4) 풍경화의 표현 2 서OO B
하는 대상을 화면에 어떻게 배치하느냐에 따라서 원근감과 공간 르누 아르 ( Ren oir , Pier re 보며 자화상을 그림, 얼굴의 형태는 다소 다르지만
① 주제의 선택과 화면 구성: 마음에 드는 곳을 여러 각도에서 관찰 Auguste/1841~1919/프랑스) 물랭 자신과 대화하는 마음으로 정성껏 표현에 임함.
감이 다르게 나타난다. 드 라 갈래트의 무도회(유채/131
하고 어떻게 배치할 것인가를 생각한다.
×175cm/1876년 작) - 따스한 <회화로 표현하기> 수업에서 구겨진 신문지와 깡통
(2) 풍경화의 역사 ② 밑그림그리기: 거리에 따른 원근감의 표현에 유의하여 스케치를 햇빛이 내리쬐고 있는 야외무대에서 을 자세히 관찰하여 정밀 묘사로 표현함. 대상을 관
① 동양: 자연과 일치하려는 동양의 자연관에 의해 표현되었으며, 중 한다. 음악소리에 맞추어 춤을 추고 있다. 3 오OO C 찰하고 표현하려는 마음가짐이 좋았으며, 또한 다른
화면 곳곳에 행복한 기운이 감돈다. 사람의 작품을 감상하고 나름대로의 작품을 분석하
국의 남북조 시대부터 산수화가 그려지기 시작하였다. ③ 채색하기: 화면의 분위기와 계절감, 원근감을 재료의 특성을 살려 고 이야기함.
출처: 미술에 대해 알고 싶은 모든
② 서양: 인물화의 배경으로 풍경화가 그려지다가 17세기 네덜란드 서 표현한다. 것들.이명옥 지음. 다빈치.2004.
12 | 각론 38 39 3. 평면의 특징을 살려 | 13



고등학교 미술지도서-기본.indd 12 2017-09-01 오후 6:00:13고등학교 미술지도서-기본.indd 13 2017-09-01 오후 6:00:14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