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7 고등학교 미술_미술 창작_미술 감상과 비평 교과서 브로슈어
P. 77













개정 방향 3 내용 체계 개선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 감상과 비평 내용 체계
영역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내용 요소 기능

작품 탐구
미술 작품과 작가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분석 정보 수집하기
탐구
하고, 그 특징과 의미를 탐구한다. 추론하기
미술의 작가 탐구 분석하기
역사 설명하기
다양한 문화권 미술의 특징과 변천 과정을 이해하 미술의 변천
이해 고,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미술 작품의 의미를 해 관련짓기
석한다. 미술의 사회·문화적 맥락 해석하기
반응 형성
다양한 방법으로 미적 대상에 대한 자신의 반응을 탐색하기
반응
형성하고 분석하여 명료화한다. 묘사하기
미술의 반응 분석 명료화하기
비평 비평의 방법과 관점 적용하기
비평 방법을 활용하여 자신의 관점에 따라 미적 대 논술하기
판단
상의 가치를 평가하고 논리적으로 표현한다. 소통하기
비평 활동














씨마스 미술 감상과 비평 교과서는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역량 함양 교육을

기반으로 미술의 주제와 매체를 확장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기르는
교수·학습을 구현하기 위하여 5대 집필 방향을 정하고 개발하였습니다.



미술 활동의 다양한 가치를 씨마스 미술 일상생활에서 학습 소재를
역량 실생활
종합적으로 학습하고 체험하는 감상과 비평 교과서 선정하여 학생의 흥미와
개발 중심
과정 중심 교육 구현 관심 유발
5대 집필 방향


학생이 스스로 계획·학습· 자기 주도 학습량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내용을 조
평가할 수 있도록 조직화 학습 감축 직화하여 적절한 학습량 제시
인성
강화

다양한 미술 활동의 과정에서
토론과 협력 강조












74 75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