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1 고등학교 체육_운동과 건강_스포츠 생활 교과서 브로슈어
P. 51
방향 3 내용 요소 개선
개정
영역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내용 요소 기능
•건강은 자신의 신체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건강한 생 •탐구하기
운동과 운동 습관 활 습관을 형성하고 증진하는 활동을 통해 관리된다. •생활 습관과 건강 관리 •관리하기
건강의 운동 효과 •건강과 운동 효과
관계 •규칙적인 운동 참여는 건강한 삶과 자기 관리의 기초 •운동과 자기 관리 •판단하기
가 된다. •생활화하기
•바른 자세를 위한 운동의 생활화는 적절한 체격의 발
달과 건강에 기여한다. •운동과 자세 관리 •탐구하기
운동과 체격 관리 •체력은 적절한 신체 활동을 꾸준히 실천함으로써 향상 •운동과 비만 관리 •관리하기
건강 관리 체력 관리 된다.
정신 관리 •운동과 체력 증진 •평가하기
•운동은 정신적 긴장 완화, 스트레스 해소, 기분 전환, •운동과 정서 조절 •생활화하기
정서적 만족감 증대에 도움을 준다.
•운동 손상의 예방과 대처에 대한 이해와 실천 방법은 •탐구하기
안전한 신체 활동을 위해 기본적으로 준비되어야 하는 •운동 손상의 유형과 특성
운동과 운동 손상 사항이다. •운동 손상의 예방과 대처 •예방하기
안전 운동 안전 •대처하기
•안전한 운동 환경은 적극적이고 활기찬 운동 참여를 •안전한 운동 환경
돕고, 운동 효과를 높인다. •관리하기
교육과정 구현
씨마스 운동과 건강 교과서는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선생님의 이상적인 수업과 학생들의 놀라운 변화를 이끌어 내고자
6대 집필 방향을 정하고 개발하였습니다.
체육과의 체력 조건에 따른
역량 증진을 위한 학습 수준별 학습
정과 외 씨마스
체육 활동과 연계된 운동과 건강 교과서
교수·학습
6대 집필 방향
자기 주도적
학습 실천
씨마스
고등학교
운동 습관
학교 수업
형성을 위한 운동과
현실을 고려한
견고한 학습 설계
종목 중심 구성 건강
48
49
2015 고등체육 브로슈어작업 02.indd 49 2017-09-06 오후 9:4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