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7 고등학교 체육_운동과 건강_스포츠 생활 교과서 브로슈어
P. 77










방향 3 내용 요소 개선
개정



영역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내용 요소 기능
•스포츠는 신체적 건강, 심리적 건장, 사회적 발달에 도움
을 주는 제도화된 신체 활동이다. •스포츠의 역할과 특성 •탐구하기
•스포츠 의미
스포츠 •스포츠 문화는 사회적 기능, 제도화, 스포츠와 관련된 관 •스포츠와 사회 문화 •분석하기
가치 •스포츠 문화 행, 가치, 규범 등에 의해 형성된다. •스포츠와 경기 문화 •판단하기
•스포츠 정신
•스포츠 참여 과정에서 스포츠맨십과 페어플레이 정신의 •스포츠 윤리 •실천하기
실천은 윤리적 태도 형성에 기여한다.
•스포츠 참여를 비롯하여 생활에서 자신의 설정한 목표 달
성을 위해 노력하고 꾸준히 심신을 수련하도록 하는 데에
도전 의지가 필수적이다. •스포츠와 도전 •실천하기
스포츠 •도전 의지
•스포츠 상황에서 경기 예절을 지키며 서로를 존중하고 배 •스포츠와 경쟁 •소통하기
수행 •대인 관계
려하는 과정을 통해 대인 관계가 긍정적으로 발달된다. •스포츠와 표현 •계획하기
•여가 선용
•일상생활에서의 스포츠 참여와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신 •스포츠와 여가 생활 •생활화하기
체적, 정서적인 효과는 삶의 활력소가 되고 건강하고 여유
로운 삶을 갖도록 한다.
•스포츠 경기에서의 규칙 준수는 자신과 타인의 약속이며
•스포츠 안전사고의 유
안전하게 스포츠를 즐기기 위한 기본 요소이다. •탐구하기
•스포츠 경기 안전 형과 특성
스포츠 •스포츠 관람 안전 •경기 관람 시 안전 수칙 및 지침 준수는 나와 남을 고려하 •스포츠 안전사고의 예 •분석하기
안전 여 모두에게 요구되는 기본적인 생활 예절이다. •판단하기
•스포츠 안전 환경 방과 대처
•쾌적하고 안전한 스포츠 환경의 조성 및 관리는 즐겁고 안 •실천하기
정된 스포츠 참여를 돕는다. •스포츠 환경과 안전


교육과정 구현



씨마스 스포츠 생활 교과서는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선생님의 이상적인 수업과 학생들의 놀라운 변화를 이끌어 내고자
5대 집필 방향을 정하고 개발하였습니다.





역량 중심 과정에 딱 맞춘 함양하는 교과서
내용 선정과 조직

스포츠 정신을





씨마스
스포츠 생활 교과서
5대 집필 방향 씨마스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한 교과서 고등학교






스포츠 생활화를
높이도록 구성
스포츠
생활
수준별 교수·학습 제시 및
스포츠 안전 추구
74

75








2015 고등체육 브로슈어작업 02.indd 75 2017-09-06 오후 9:50:30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