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4 고등학교 기업과 경영 교과서
P. 54
2 경영 계획 수립 단계
경영 계획을 수립할 때에는 조직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 조직
2명 이상이 공통의 목적을 달성하
어야 하고 경영 계획 수립 과정에서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경영 계획 기 위해 상호 작용하는 체계화된
구조를 가진 시스템.
수립 단계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경영 계획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수립한다.
경영 계획 수립 단계
◯◯ 여행사의 경영 계획 수립 사례
주 5일제 근무에 따른 여행 수
기회 인식 • 계획 수립의 첫 단계로, 미래에 다가올 기회를 검토하는 단계이다.
요 증가
• 기업의 전체 목표와 그 하위 단위 목표를 수립하고 설정하는 단계이다. 국내 3대 여행사에 진입하기
목표 설정 • 조직의 목표는 최종적으로 기업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할 것이며, 어디에 주된 강 위해 전년 대비 매출액 20%
조점을 둘 것인지, 무엇을 달성해야 하는지가 포함되어야 한다. 성장 목표
• 계획 수립을 위한 여러 가지 대표적인 과정을 모색하는 단계이다. 여러 가지 내·외 환경을 분석
대안 모색 • 예측 자료, 적용 가능한 기본 방침 및 회사의 기존 계획 등을 분석하여 기업의 목표 하여 새로운 주말 여행 상품을
달성을 가능하게 해 주는 대안을 탐색한다. 비롯한 몇 가지 대안 모색
• 계획대로 진행된다는 전제하에 여러 대안들을 평가하는 단계이다. 주말 여행 상품을 비롯한 몇 가
대안 평가 • 여러 가지 요소들을 측정함으로써 각 대안들의 위험성, 수익성 등을 평가하는 과정 지 대안들을 평가한 결과 주말
이다. 여행 상품을 개발하기로 결정
● 구체적인 계획안을 선택하는 의사 결정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 계획안을 개발하는 방법에는 브레인스토밍과 벤치마킹 등이 있다.
-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여러 사람이 모여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자
유롭게 제시하고, 이러한 아이디어들을 취합·수정·보완해 선택된 주말 여행 상품을 기본
계획안 선택/ 일반적인 사고방식으로는 생각해 낼 수 없는 독창적인 아이 으로 하여 목표 달성을 위해
대안 선택 디어를 얻는 방법 여러 계획안을 마련한 후 그
중 하나를 선정
성공사례
- 벤치마킹(Bench-marking)
어느 특정 분야에서 우수한 상대를 표적으로 삼아 자기 기
업과 성과 차이를 비교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표적의 뛰
어난 운영 프로세스를 배우면서 부단히 자기 혁신을 추구하
는 경영 기법
선택된 계획안으로 실행 계획
실행 계획 수립 •경영 계획안을 실행할 장·단기 전략적, 전술적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이다.
수립
[그림 Ⅱ-2] 경영 계획 수립 단계와 사례
52 Ⅱ. 경영 관리
기업과경영-2단원-3차-수정.indd 52 2017-08-19 오전 11:3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