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1 고등학교 미술_미술 창작_미술 감상과 비평 교과서 브로슈어
P. 31







3 평면의 특징을 살려 단원의 학습 목표



•대상을 관찰하고 짜임새 있는 화면을 구성하여 주제가 드러나게 표현할 수 있다.
•작품을 성찰하고 다음 작품 계획에 반영할 수 있다.
•판화의 종류와 특성을 이해하고 생활에 미친 영향을 파악할 수 있다. 지
•새로운 판화 형식과 경향을 알아보고 창의적으로 응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단원 평가 계획


소단원명 성취 기준 평가 기준 평가 방법

(12미02-02)조형 요소와 원리를 다양하게 응용하여 1) 드로잉, 정물화, 풍경화, 인물화 등의 표현에서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대상에서 받은 느낌을 어떻게 표현하였는지
관찰법
회화로 (12미02-03)여러 가지 표현 매체의 조합이나 응 설명할 수 있다.
표현하기 용ㆍ확장을 통해 새로운 표현 효과를 탐색할 수 있다. 2) 대상을 관찰하여 짜임새 있게 화면을 구성하
실기 평가법
(12미02-04)주제와 표현 의도, 재료와 표현 방법, 매 고 주제를 드러낼 수 있는 재료와 매체를 선택
체, 표현 과정,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 하여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12미02-05)작품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작품을 수
정하거나 다음 작품 계획에 반영할 수 있다. 1) 판화의 기법과 특징을 이해하고, 판화가 생활
관찰법
다양한 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설명할 수 있다.
판화 표현 2) 판화의 다양한 형식과 표현 방법을 응용하여
실기 평가법
표현할 수 있다.





단원 지도 계획

소단원 차시 교과서 쪽 학습 목표 주요 학습 내용 및 활동 교수·학습 방법

•드로잉의 재료와 선의 느낌
• 대상을 관찰하고 짜임새 있는 화면
•정물화와 채색 재료의 특징 • 직접 교수법
을 구성하여 주제가 드러나게 표현
회화로 •풍경의 아름다움과 공간 표현 • 반응 중심 학습 모형
6 42~49 할 수 있다.
표현하기 •인물의 자세와 표정 • 창의적 문제 해결
• 작품을 성찰하고 다음 작품 계획에
단원 설정의 이유 반영할 수 있다. • 그림들을 조합하여 이야기가 있는 학습 모형
작품 만들기
회화는 평면 공간 위에 선, 형, 색 등의 조형 요소로서 자기의 느낌이나 생각을 그려 내는 조형 예술이
• 판화의 종류와 특성을 이해하고 생
다. 우리는 대상을 표현할 때 여러 면으로 관찰하여야 그 대상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드 활에 미친 영향을 파악할 수 있다. •판화의 종류와 특성 • 직접 교수법
다양한 •판화 기법과 형식의 확장과 응용 • 반응 중심 학습 모형
로잉은 대상을 관찰하여 그 형태와 구조, 명암, 질감 등을 한두 가지의 색으로 표현하는 그림이다. 작가들 4 50~53 • 새로운 판화 형식과 경향을 알아보
판화 표현 • 스텐실 기법을 활용하여 공공 미술 • 창의적 문제 해결
은 본격적인 회화 작품을 제작하기 전에 드로잉으로 먼저 옮기는 경우가 많다. 일상에서 흔히 접하는 인 고 창의적으로 응용하여 표현할 수 제작하기 학습 모형
있다.
물이나 정물, 풍경 등은 조형 예술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온 소재인데, 이러한 대상의 표현도 관찰에서 비
롯된다. 관찰은 단순히 눈으로 보는 것을 넘어 모든 감각을 동원하여 ‘보고 느낀다’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 별자리 도안으로 다양한 실크 스크린 창의적 문제 해결
연계 활동 54
다. 대상을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 그 표현 방법이 달라지고, 그 과정에서 각자의 개성이 드러난다. 작품 만들기 학습 모형
‘회화로 표현하기’는 우리 주변의 흥미로운 대상을 찾아 주의 깊게 관찰하고 내가 찾아낸 대상의 표정을
주요 용어 정리, 단원 핵심 질문에
담아 보게 하는 단원으로, 생활 주변의 사물이나 주변 경치, 사람들의 모습에서 받은 느낌을 짜임새 있게 스스로 55 내 생각 쓰기, 핵심 개념 내용 정리,
정리하기
화면을 구성하여 주제가 드러나게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직접 그리는 회화와는 달리 ‘다양한 판화 학습 정도 확인하기
표현’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판화와 그 특성, 생활 속에서의 활용, 판화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등을 살
펴보고 판에 그림을 그리거나 새겨서 찍어 보는 단원으로, 새로운 판화 형식과 경향을 알아보고 창의적으
로 응용하여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 단원을 지도할 때에는 대상을 충분히 관찰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고, ‘무엇을’, ‘어떻게’ 관찰해 지도 유의점
야 하는가에 관한 체계적인 지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대상에서 받은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솔직하 • ‘회화로 표현하기’에서는 대상을 관찰하여 짜임새 있게 화면을 구성하고 주제를 드러낼 수 있는 재료와 매체를 선택하여
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다양한 판화 표현’에서는 판의 형식에 따른 제작 과정을 익혀 다양한 방법으로 판화 표현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연계 활동’에서는 실크 스크린의 특징을 이해하고 주제가 잘 드러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2 | 각론 28 29 3. 평면의 특징을 살려 | 3





고등학교 미술지도서-기본.indd 2 2017-09-01 오후 6:00:02고등학교 미술지도서-기본.indd 3 2017-09-01 오후 6:00:02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