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8 고등학교 미술_미술 창작_미술 감상과 비평 교과서 브로슈어
P. 88









자연 표현으로 본 서양의 미술 자연과 인간의 관계
인간은 어떻게 자연을 관찰하고 묘사하였을까?

인간은 자연을 두려워했지만 문명이 발전하면서 자연을 통제하려 했다. 고대 이집트

미술에서는 자연물의 특징이 가장 잘 나타나는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결합하여 한
화면에 담았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남아 있는 작품들을 살펴보면 자연을 뛰어난 솜
씨로 묘사했음을 알 수 있다.

중세 후기에 들어서면서 인간은 자연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랭부르 형
제의 「베리 공을 위한 시도서」는 달력 형식으로, 12장의 삽화에서 사계절의 흐름이 나
타나 있다. 르네상스 시대는 신의 섭리를 자연에서 찾던 중세의 자연관에서 벗어나 자
연을 관찰하고 탐색하는 데 전념하였다.



랭부르 형제(Limbourg brothers/네덜란드/1385~1416) 베리
공을 위한 시도서-2월(양피지 위에 채색/22.6×13.7㎝/1412~
1416년 작)



컨스터블(Constable, John/영국/1776~1837)
웨이머스만(유채/53×75㎝/1816년 작)













네바문의 정원(회반죽에 채색/62×72㎝/기원전 1400년경/네바문의 고분 벽
화/이집트) 리비아 별장의 식당을 장식한 벽화(프레스코/기원전 1세기/로마) - 관상
용 식물과 새, 나무를 그려 넣었다.
뒤러(Dürer, Albrecht/독일/1471~1528) 큰 잡초
1. 두 작품은 각각 어떻게 자연을 표현하였을까? 덤불(수채, 펜, 잉크/41×31.5㎝/1503년 작)
2. 자연에 대한 작가들의 관점은 어떻게 변화해 왔을까?
드마리아(De Maria, Walter Johebh/미국/1935~2013) 번개 치는 들판(설치/1971~1977년)
좀 더 세 그림에서 멀고 가까운 것을 나타내는 방법
자 히
컨스터블은 자연 현상 자체를 주제로 삼아 날씨를 기록하고 탐구하려는 취지에서 그림을 그렸다. 드
원근법이 미술에 체계적으로 적용된 것은 르네상스 시대부터이다. 호베마의 풍경화를 살펴보
마리아는 번개를 인위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400여 개의 스테인리스강 봉을 설치하여, 전시장이라는 공
면 길의 양쪽이 지평선에서 만나는 것처럼 보인다. 이렇게 지평선에서 만나게 되는 하나의 점을
간의 한계성에서 벗어나 자연과 어우러진 작품 세계를 보여 주었다. 소실점이라고 한다. 이 소실점을 기준으로 사물을 배치하면 멀리 있는 사물과 가까이 있는 사물
서양 미술에서 자연을 표현하는 방식은 시대별로 다양한 차이를 보여 준다. 자연을 정밀하게 탐구하 이 사실적으로 자연스럽게 표현된다. 원근법에는 소실점을 바탕으로 회화의 화면을 구성한 ‘선 원
려는 목적에서 자연을 그리거나, 자연 풍경 자체에 관심을 표현하고 더 나아가 사회 문제를 자연에 반영 근법’과 대상이 공기층이나 빛의 작용으로 멀리 있을수록 흐릿하고 푸르스름하게 보인다는 점을
살려 회화에서 거리감을 표현한 ‘공기 원근법(색채 원근법)’이 있다.
하여 표현하는 작품도 등장한다. 선사 시대부터 오늘날까지 서양 미술에서 자연을 묘사하는 방식의 시
호베마(Hobbema, Meindert/네덜란드/1638~1709) 미델하르니스
대별 특징과 변화를 살펴보자.
의 가로수 길(유채/103.5×141㎝/1689년 작)
선사 시대(~기원전 3500년경) 고대 그리스와 로마(기원전 1000년~5세기) 중세 미술(4~14세기) 르네상스 미술(15~16세기) 북유럽 르네상스 미술(15~16세기) 네덜란드 미술(16~17세기)
주술적 목적의 자연 묘사 자연에 대한 간결하고 사실적인 묘사 기독교의 발전과 자연의 관념적 묘사 자연에 대한 합리적인 접근 세밀한 자연 관찰과 묘사 일상 속의 자연을 향한 관심









라스코 동굴 벽화 「말」 새잡이의 잔 사냥도 물고기와 새의 창조 여인과 일각수 지오토 「샘의 기적」 조르조네 「폭풍」 파티니르 「성 히에로니무스가 있는 풍경 」 뒤러 「아르코 계곡 전경」 브뤼헐 「수확하는 사람들」 프롬 「네덜란드 선박」

56 57
86 87





고등미술_감상과비평_3차 5교.indb 56 2017-07-28 오후 1:53:53 고등미술_감상과비평_3차 5교.indb 57 2017-07-28 오후 1:53:57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