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2 고등학교 미술_미술 창작_미술 감상과 비평 교과서 브로슈어
P. 92









사물 표현으로 본 서양 미술 사물에 담긴 은유와 상징
작품에 표현된 사물은 어떤 의미를 담고 있을까? 용어 알기

바니타스 정물화
서양에서 사물을 소재로 하는 미술은 집 안을 장식하기 위한 벽화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여 정
세상 영욕의 허무함을 뜻하는 라틴
물화 양식으로 발달하였다. 로마 폼페이에서 집 안을 장식한 벽화에는 나무, 꽃, 과실 등이 묘사되 어 ‘바니타스(vanitas)’에서 유래하
였다.
어 있으며, 17세기 네덜란드에서는 정물화 장르가 나타나 큰 인기를 끌었다. 이러한 경향은 대항 정물은 각각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데, 과일은 다산과 풍요, 고기는 욕
해 시대에 재산을 쌓은 새로운 계층이 정물에 담긴 상징성으로 종교적, 인문학적 소양을 드러내려
망과 죽음, 나이프는 판단력과 정의,
고 한 시대 분위기를 반영한다. 한편, 18세기 프랑스는 사치스러운 귀족 문화와 소시민의 서민 문 주전자는 절제, 고양이는 여성의 부도
덕, 해골은 인간의 유한성을 상징한다.
화가 공존하는 시대였다. 샤르댕은 정물화를 그려서 당시 시민 계급의 합리성과 검소한 삶을 보여
주고자 하였다. 샤르댕의 정물화는 17세기 네덜란드 정물화와 비교했을 때 사물의 형태와 색채 표
현에서 강한 생명력이 느껴지는 조형적 특징을 보인다.




















헤다(Heda, Willem Claeszoon/네덜란드/1594~1680) 파이가 있는 정물(목판 샤르댕(Chardin, Jean-Baptiste-Siméon/프랑스/1699~1779) 가오리
에 유채/58.6×79㎝/1633년 작) (유채/114×146㎝/1725~1728년 작)
워홀(Warhol, Andy/미국/1928~1987) 캠벨 수프 통조림(합성 폴리머 물감/각 50.8×40.6㎝/1962년 작)
탐구 활동 소재의 상징적 의미 비교하기 모둠 활동 정보 수집하기, 비교하기


다음의 두 작품은 해골을 소재로 하고 있다. 해골이 소재가 된 작품의 시대별 의미를 탐구해 보자.
1. 위 작품의 작가가 통조림을 연속적으로 나열한 까닭은 무엇일까?
학생 A 두 작품의 공통점은 해골이 삶의 무상함을 상징한다는 거야.
2. 캠벨 수프 통조림이 상징하는 것은 무엇일까?
학생 B 두 작품은 분명 다른 시대에 만들어졌는데 어떻게 소재도 같고 의미도 비슷한 걸까?
학생 C 스테인비크의 작품이 시대적으로 앞서니까 허스트가 스테인비크로부터 영향을 받았
위 작품은 대중문화와 소비 사회를 배경으로 하여 일상의 상품을 과감하게 예술로 표현하였 다고 생각해.
다. 워홀은 현대 사회의 특징인 대량 생산과 복제 기술을 자신의 작품에 도입하여 예술 작품의
나의 생각
유일성에 대한 고정 관념을 깨뜨렸고, 대중문화와 소비 사회의 상징적 사물이 예술의 소재가
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처럼 현대 미술에서는 사물이 작품의 중심 소재가 되어 다양한 시
대적 의미와 특징을 담아내기도 한다. 사물을 소재로 한 서양 미술 작품을 감상하고, 그 변천 과
정과 시대별 특징을 탐구하여 보자. 스테인비크(Steenwyck, Harmen/네덜란 허스트(Hirst, Damien/영국/1965~ ) 신
드/1612?~1656) 정물: 바니타스 알레고리(목 의 사랑을 위하여(백금, 다이아몬드, 인 활동 점검하기 미술 소재의 상징적 의미를 시대별로 비교하였는가?
판에 유채/39.2×50.7㎝/부분/1640년 작) 체 치아/17.1×12.7×19㎝/2007년 작)


에게 시대(기원전 1500년경) 이집트 시대(기원전 3500~기원전 그리스 시대(기원전 1000년경~1세기경) 로마 시대(기원전 8~5세기) 중세 시대(4~14세기) 르네상스 시대(15~16세기) 바로크 시대(17세기) 로코코 시대(18세기) 근대(19세기)
그리스 이전의 고대 문명 300년경) 영원성의 추구 서양 문명의 근원 실용적인 문화의 융성 장중하고 엄숙한 종교의 시대 인간 중심의 고전 부활 외향적인 격동의 문화 화려한 장식과 문양 급격한 변화와 다양한 사상의 충돌









바피오의 컵 투탕카멘 왕좌 적회식·흑회식 도기 폼페이 벽화 글로스터 대성당 촛대 샤르트르 대성당 장미창 뒤러 「서재의 성 히에로니무스」 베르트 「꽃바구니」 원형의 함 쿠르베 「세 개의 빨간 사과」

60 61
60
90 91




고등미술_감상과비평_3차 5교.indb 60 2017-07-28 오후 1:54:12 고등미술_감상과비평_3차 5교.indb 61 2017-07-28 오후 1:54:15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