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9 고등학교 체육_운동과 건강_스포츠 생활 교과서 브로슈어
P. 89
교과서 보기
(2) 전력 질주를 위한 기술과 전술은? (4) 던지기 용구를 멀리 던지기 위한 기술과 전술은?
클릭!클릭! 전력 질주 전력 질주 구간에서는 최고 속도를 효과적으로 팔이 옆구리에서 투사 속도 물체에 작용하는 힘을 크게 하여 투사 속도를 높인다. 원반과 해머던지기를 할 때 과학적 원리를 이용한 던지기 요령
많이 떨어지지 않 • 물체에 최대한 큰 힘으로 밀어 내는
•대한육상연맹 유지하며 달리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서서히 상체 도록 한다. 는 회전 반경과 회전 세기를 크게 하여 회전력을 높이고, 던지는 순간의 속도를 빠르게 해야 거리를 길게 한다.
http://www.kaaf.or.kr 어깨와 손 한다. 넓적다리와 허리를 먼저 사용하고, 그다음 팔과 손을 사용하여 적절한 타이밍에 던진다. • 던지는 순간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
•한국중고육상연맹 를 세우고 보폭을 일정하게 하며, 팔과 다리의 움직임이 자 목의 힘을 하여 동작을 빠르게 한다.
http://www.kjaf.org 연스러워야 한다. 뺀다. 135° 던지기 각도 던지는 높이와 떨어지는 높이가 같다면 약 45°로 던지는 것이 좋지만, 선수의 신 • 물체의 모양과 무게에 따라 공기 저항
발바닥은 지면을 장 및 던지기 종목 물체의 특성과 궤적에 따라 좀 더 낮은 각도로 던진다. 공기 저항을 줄이기 을 고려하여 적절한 각도로 던진다.
•몸을 15~20° 정도 앞으로 기울이고 달린다. 강하게 긁는 것처
•시선은 결승선을 향하고, 옆 선수를 보지 않는다. 럼 민다. 위해 물체에 회전이 걸리도록 하기도 한다. 투사 속도
•팔은 엘(L) 자 모양으로 구부려 앞뒤로 힘차게 흔든다.
지면 반력 던지는 순간 신체가 지면에 접촉한 상태로 동작이 끊어짐 없이 부드럽게 연결되도 창, 원반, 포환 따위를 던질 때의 속도
• 다리는 발뒤꿈치가 엉덩이에 닿을 정도로 빠르게 감아올리고, 무릎은 높
이 들어 올린다. 록 하여 지면 반력을 충분히 이용한다.
• 내딛는 다리는 무릎이 최고 높이에 도달했을 때 앞쪽으로 당기고, 지면에 지면 반력
착지하는 순간에 앞발을 뒤로 당기는 것처럼 발가락 부분부터 착지한다. 인체가 지구에 힘을 가할 때 이와 똑
(5) 큰 도약력을 얻기 위한 기술과 전술은? 같은 힘이 되돌아 오는 것
(3) 결승선을 유리하게 통과하는 기술과 전술은? 도움닫기-발구르기-공중 동작-착지 뜀뛰기 경기의 기록은 도움닫기의 속도와 강한 발구름
라스트 스퍼트 에 의해 결정된다. 근력과 신장의 차이에 따라 적절한 도움닫기 거리를 정하고 일정한 보폭 수 던지기 각도, 속도 거리와의 관계
피니시 결승선이 가까워지면 피치를 빠르게 하며, 팔을 힘차게 흔들도록 한다. 결승선이 10 m 정
라스트 스퍼트에서는 몸이 뒤로 젖혀 최적의 최적의 실제
지거나 머리를 뒤로 들어 올리지 않는 도 더 멀리 있다고 생각하고 의지력을 발휘하여 끝까지 최고 속도로 달려야 한다. 단거리 달리기에 를 조절하여 리듬감 있게 달리고, 발바닥 전체에 체중을 실어 강하게 발구르기를 해야 한다. 종목 던지기 단거리 던지기
것이 중요하다. 절대 속도를 떨어뜨리 서 결승선을 통과하는 방법에는 러닝 피니시, 런지 피니시, 슈러그 피니시가 있다. 이 중에서 자신에 <높이뛰기> <멀리뛰기> 각도 속도 속도
지 않기 위하여 중간 질주 시의 자세 ( ° ) (m/sec) (m/sec)
를 유지하고 스트라이드를 길게 하지 게 가장 잘 맞는 방법을 선택한다. 포환 38 11.5
않으며 양팔을 활발하고 힘차게 흔들 던지기 ~41 13.8 ~13.8
어야 한다.
20~30 m 70~80 m 원반 36 24 22~24
스타트 전력 질주 라스트 던지기 ~38
대시 스퍼트
출발선 결승선 창 37
35 30.5~35
최고 속도 도달 마지막 힘 발휘 던지기 ~38
<100 m 달리기의 속도 전략>
• 도움닫기: 거리는 약 30~40m로 참가자의 수준에 따라 • 도움닫기: 적정한 거리는 약 40m 정도이다. 해머 44 28 23~28
도움닫기 거리와 보폭 수를 조절해야 한다. • 발구르기: 마지막 구름발은 몸과 수직으로 일치해야 던지기
러닝 피니시 결승선까지 후반 질주 자 런지 피니시 결승선 1보 전에 상체 슈러그 피니시 결승선 직전에 킥한 • 발구르기: 곡선으로 비스듬히 바에 접근한 다음 딛는 발 한다.
세를 유지하면서 결승선을 통과하면서 를 앞으로 굽히고 재빨리 가슴을 앞 발의 반대쪽 팔과 어깨 및 몸통을 옆 이 가로대와 평행을 이루게 한다. • 공중 동작 및 착지: 공중에서 달리듯이 양다리와 양팔 - 출처: 육상 경기 이론과 실제, 2014
스피드가 줄어들지 않도록 한다. 으로 내밀며 통과한다. 으로 틀어 결승선을 통과한다. • 공중 동작 및 착지: 팔을 흔들어 올린 상태에서 윗몸을 뒤 을 교차하며 젓는다. 착지할 때에는 팔과 다리가 가장
로 젖혀 몸을 활 모양으로 구부려 가로대를 넘는다. 착지 가깝게 평행을 이루어야 한다.
할 때는 몸을 펴 무릎으로 얼굴을 치는 것을 막는다.
스포츠에서 배 우기 심상 훈련
나 에게 맞게 연습하기
심상 방법 심리 요인을 조절하는 심상 훈련에 대한 다음 글을 읽고 아래의 활동을 해 보자.
• 내적 심상: 스스로의 능력과 관련된 뜀뛰기 경기 기록을 높이기 위한 보강 운동을 연습해 보자.
감각적 경험과 지식을 활용하여 떠 육상 경기는 꾸준한 연습을 통하여 자신이나 타인의 기록에 도전한다. 힘들고 지루한 연습을 반
올리는 것 복한 후에 효과적으로 경기력을 발휘하게 되면 성취감도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체력과 기술 1. 제자리 3단 뛰기를 홉 스텝 또는 모둠발로 뛰어 반복 연습한다. 2. 트램펄린이나 발구름판을 설치하여 매트 위로 뛰어올라 높이뛰기
• 외적 심상: 외부 관찰자가 자신을 바 또는 멀리뛰기의 공중 동작 자세를 연습한다.
훈련뿐만 아니라 심상 훈련도 중요하다. 심상 훈련은 경기 직전 또는 평소에 눈을 감고 시각, 청각,
라보는 모습을 떠올리는 것
촉각, 후각 등의 모든 감각을 동원하여 집중한 상태에서 실제 수행하는 것처럼 단계적인 동작을
마음속으로 그려 보는 것이다. 심상을 실시하면 실제 운동 수행을 할 때와 같은 근수축이 일어나 씨마스
기도 하며 운동 기술의 학습 과정과 부상으로부터 회복하는 과정에서도 효과를 갖는다. 또한 경기
고등학교
상황에서 초조하고, 떨리는 불안의 상태를 낮출 수 있어 경기력 향상에도 큰 도움이 된다.
1. 심상 훈련을 할 때 떠올릴 장면을 생각해 보자. ▲ 구름판을 이용한 공중 동작 연 ▲ 구름판을 이용한 착지 연습하기 스포츠
▲ 제자리 3단뛰기
2. 경기에 임할 때 불안을 낮추기 위한 자신만의 방법을 발표해 보자. 습하기
생활
46 Ⅱ. 스포츠 수행 1. 스포츠와 도전 47
86
87
스포츠생활-3차제출본.indb 46 2017-07-25 오후 2:22:33 스포츠생활-3차제출본.indb 47 2017-07-25 오후 2:22:34
2015 고등체육 브로슈어작업 02.indd 87 2017-09-06 오후 9:5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