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 고등학교 미술_미술 창작_미술 감상과 비평 교과서 브로슈어
P. 15













개정 방향 3 내용 체계 개선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 내용 체계
영역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내용 요소 기능

감각을 통한 인식은 자신과 환경, 세계와의 관계를 깨
지각 자신과 세계
닫는 바탕이 된다.
인식하기
이미지는 느낌과 생각을 전달하고 상호 작용하는 도구
소통 시각 문화의 가치와 역할 모색하기
체험 로서 시각 문화를 형성한다.
참여하기
연계하기
미술을 통한 사회 참여
미술은 타 학습 영역, 다양한 분야 등과 연계되어 있
연결
고, 삶의 문제 해결에 활용된다.
직업 세계와 미술
주제를 다양한 방식으로 탐색, 상상, 구상하는 것은 표
발상 주제의 확장
현의 토대가 된다. 탐색하기
표현하기
조형 요소와 원리의 응용
표현 활용하기
작품 제작은 주제나 아이디어에 적합한 조형 요소와
확장하기
제작 원리, 표현 재료와 용구, 방법, 매체 등을 계획하고 표 표현 매체의 융합
성찰하기
현하며 성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성찰과 보완
미술 작품은 시대와 지역의 배경을 반영하고 있어 미
이해 술 작품의 이해는 시대적 변천, 맥락 등을 바탕으로 미술 문화의 교류 설명하기
작품의 특징을 파악하는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이해하기
감상
활용하기
미술 작품의 가치 판단은 다양한 관점과 방법을 활용 판단하기
비평 작품 비평
한 비평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씨마스 미술 교과서는 미술의 주제와 매체를 확장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기르는 교수·학습을 통해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5대 집필 방향을 정하고 개발하였습니다



미술 활동의 다양한 가치를 씨마스 일상생활에서 학습 소재를
역량 실생활
종합적으로 학습하고 체험하는 미술 교과서 선정하여 학생의 흥미와
개발 중심
과정 중심 교육 구현 5대 집필 방향 관심 유발




학생이 스스로 계획·학습· 자기 주도 학습량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내용을
평가할 수 있도록 조직화 학습 감축 조직화하여 적절한 학습량 제시
인성
강화


다양한 미술 활동의 과정에서
토론과 협력 강조




12 13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