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 고등학교 미술_미술 창작_미술 감상과 비평 교과서 브로슈어
P. 19












교과서 도입 전개: 탐구
142~147쪽
3 평면의 특징을 살려 2
주제와 표현 방법 회화로 표현하기 대상에서 받은 느낌을 어떻게 표현할까? 중단원 도입
회화로 표현하기 6차시

미술 교과 역량 핵심 질문 ① 세라(Serra, Richard/미국/1939~ ) 특별한 제목(목탄/96×126.5cm/1972년 작) ② 마틴(Martin, Kenneth/영국/1905~1984) 우연과 순서 5: 빨강(유채/122×122cm/
1970년 작)
➊ 외부 세계의 다양한 대상과 현상을 지각하여 자신의 생각과 감 •내 생각을 어떻게 작품으로 표현할까? 등에 따라 그리는 사람의 개성을 드러낼 수 있어서 드로잉에서 가장
드로잉 재료와 선 사용에 따라 그림의 인상은 어떻게 달라질까?
미적 감수성
드로잉은 주로 선으로 이미지를 나타낸다. 선은 강약과 방향, 속도
주제는 작가가 말하고 싶은 내용이며, 작가와 관객 사이의 소통
중요한 조형 요소이다. 드로잉은 연필, 목탄, 콩테, 펜, 색연필, 파스텔
정을 이해하고, 주제 표현을 위해 이미지를 구체화하면서 미적 가 을 가능하게 해 주는 것이다. 나와 주변, 사회를 둘러보고 어떤 이 등의 재료를 사용한다. 대상을 관찰하여 그린 작품 ③은 세밀한 묘사
가 가능한 연필의 특성을 잘 활용한 것이다. 한편 목탄의 특성이 드
러난 ①에서는 강한 선과 부드럽게 문지른 흔적으로 화가의 충동적
야기로 소통하고 싶은지 생각해 보고, 자신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치를 내면화할 수 있다. 인 감정과 손의 움직임을 느낄 수 있고, ②는 흰 배경 위에 신중하게 ③ 서하늘(학생 작품) 수도꼭지에 비친 나(연필/38.2×54.5cm) - 수도꼭지의 모양을 따라 ➊ 미술 교과 역량: 단원 내용을 학습하여 기를 수 있는
그은 직선들에서 변화하는 리듬이 느껴진다. 이처럼 드로잉은 현실에
드러낼 수 있는 재료와 매체를 선택하여 표현하는 것이 중요함을 1. 위 작품을 보고 무엇이 느껴지는가? 제임스(James, Marcus/영국/1973~ ) 스노든 산(색연필/133×200cm/2015년 작) 존재하는 사물만이 아니라, 화가의 감정 등 보이지 않는 것도 표현할 왜곡되는 자신의 모습을 정교하게 묘사했다.
창의 융합 능력 이해시킨다. 2. 표현 재료로 종이와 색연필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일까? 수 있다. 재료에 따라 달라지는 선의 느낌을 실험해 보고 주제에 알맞
은 재료를 선택하여 표현해 보자.
나와 주변, 사회를 바라보며 떠오르는 생각을 마인드맵, 브레인스 오랜 세월 동안 많은 작가들은 자기 주변의 다양한 사물과 생각을 그림으로 남겼다. 위 작품은
토밍을 활용하여 정리하면서 주제를 찾고, 스캠퍼의 발상 방법을 활 준비물 색연필 특유의 다양한 색과 정교한 선으로 작가가 풍경을 바라보며 느낀 환상적인 감흥을 드로잉
으로 표현한 것이다.
드로잉, 정물화, 풍경화, 인물화에는 표현 대상의 특징이 드러나기도 하고, 작가의 감정이 담기
용하여 주제를 나타낼 수 있다. 도화지, 연필, 콩테, 파스텔, 아크릴 물감, 수채 물감 등 기도 한다. 주변을 둘러보고 그리고 싶은 대상을 찾아보자. 그리고 그것을 관찰하며 받은 느낌과 미술 교과 역량을 제시하였습니다.
생각을 그림에 담아 보자. 화면을 구성할 때 조형 요소와 원리를 고려하고, 다양한 표현 재료와 기
법 중 어떤 것을 활용할지도 생각하며 작품을 구상해 보자.
학습 목표
학습 목표 평가 계획 <평가 방법> 관찰법, 실기 평가법 <평가 유형> 자기 평가, 동료 평가 • 대상을 관찰하고 짜임새 있는 화면을 구성하여 주제가 드러나게 나의 학습 진단 나의 학습 계획 ⑤ 김지현(학생 작품) 무제(콩테/59×39.3cm) - 인체의
정물화의 화면 구성
표현할 수 있다.
•작품을 성찰하고 다음 작품 계획에 반영할 수 있다. 원근감의 표현 방법 ④ 김선진(학생 작품) 대조(연필, 색연필/39.3×54.5cm) - 자신의 신발과 익명의 하이힐을 대조적으로 움직임을 포착하여 빠른 시간에 선의 강약을 살려
• 대상을 관찰하고 짜임새 있는 평가 기준 인물화의 표현 요소 을(를) 알고 있다. 고 싶다. 표현하였다. 운동화는 정밀 묘사로, 나머지 신발은 간단한 선묘로 나타내었다. 그린 크로키이다. 손의 힘을 조절하여 콩테의 농담을
활용하였다.

화면을 구성하여 주제가 드러 요소 우수 보통 노력 요함 42 평면의 특징을 살려 회화로 표현하기 43
나게 표현할 수 있다. 2017년고등미술최종-1209.indb 42 2016-12-09 오전 7:38:20
• 작품을 성찰하고 다음 작품 드로잉, 정물화, 풍경화, 인물 드로잉, 정물화, 풍경화, 인물 드로잉, 정물화, 풍경화, 인물 2016-12-09 오전 7:38:16 2017년고등미술최종-1209.indb 43 ➋ 핵심 질문: 단원의 핵심 내용을 질문 형태로 제시한
계획에 반영할 수 있다. 이해 화 등의 표현에서 대상에서 받 화 등의 표현에서 대상에서 받 화 등의 표현에서 대상에서 받
은 느낌을 어떻게 표현하였는 은 느낌을 어떻게 표현하였는 은 느낌을 어떻게 표현하였는 교과서 예시 자료 해설과 지도 방법 할 수 있다. 드로잉은 주로 단색을 사용하여 선의 느낌을 살린 회화인
지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지 설명할 수 있다. 지 이해할 수 있다.
동시에 다양한 재료를 통해 색채에 구애받지 않고 형태 묘사에 전념할
대상을 관찰하여 짜임새 있게 대상을 관찰하여 짜임새 있게 수 있으며 밑그림으로서의 기능을 넘어 폭넓은 가능성을 열어주는 영
화면을 구성하고 주제를 드러 화면을 구성하고 주제를 드러 대상을 관찰하여 짜임새 있게 도입 42쪽 역으로, 재료에 따라 다양한 선의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다. 연필, 목탄, 핵심 질문의 이해를 돕는 내용과 활동의 전개가 한눈
화면을 구성하고 주제를 드러
➌ 표현 낼 수 있는 재료와 매체를 선 낼 수 있는 재료와 매체를 선 낼 수 있는 재료와 매체를 선 •제임스(James, Marcus/영국/1973~ ) 스노든 산(색연필/133×200cm/ 콩테, 펜, 색연필, 파스텔 등의 다양한 사용 방법을 익혀 표현하도록 지
택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택하여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택하여 표현할 수 있다.
2015년 작)
도한다.
있다.
있다.
제임스는 자연을 재해석하여 리듬감이 있는 공간을 명료하게 표현
단원 지도 계획 한다. 색연필 드로잉으로 표현한 풍경은 광학 효과로 시선을 끈다. 그 •세라(Serra, Richard/미국/1939~ ) 특별한 제목(목탄/96×126.5cm/
는 자연을 자신의 방식으로 보고, 색연필의 반복된 패턴을 세심하게 에 들어올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습니다.
단계 주요 활동 참고 사항/유의점 1972년 작)
사용하였다.
•도입 도판을 감상하고, 동기 유발을 위한 질문을 한다. • 어떤 주제를 어떻게 표현했는 목탄의 부드러운 선으로 사각형을 표현하였다. 선은 보는 사람에게
도입 감정을 일으키게 하는 힘이 있다. 선으로 회화 공간이 생성된다. 이 작
•단원의 핵심 질문을 제시하며 단원 학습 내용을 안내한다. 지 살펴보게 한다.
① 재료에 따라 달라지는 선의 느낌을 실험해 보고 주제에 알맞은 재료를 선택하여 표현해 본다. 동기 유발 품은 지워지지 않고 남겨진 윤곽선에 의해 여러 공간이 생성하며, 여
- 재료에 따라 달라지는 선의 느낌 이해하고,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재료를 선택하기 1. 위 작품을 보고 무엇이 느껴지는가? 러 개의 사각형에 의해 공간과 움직임을 느끼게 한다. 목탄으로 그은
② 주변의 사물을 주의 깊게 관찰하며 조형 요소와 원리를 적용하여 화면을 개성 있게 구성해 본다. • 드로잉은 작품을 구상하거나 작가는 자연을 자신이 방식대로 보고, 자연에서 받은 감동을 담 다음 천이나 손가락으로 문질러 표현하여 부드러운 색조와 명암, 질
•주관적인 생각을 담은 정물화를 표현한다. 대상을 탐구하는 조형 활동의 아 표현하였다. 현실에서는 볼 수 없는 환상적인 자연이 느껴진다. 감 등을 나타내었다. ➌ 평가 계획 및 단원 지도 계획: 수업 전 필요한 자료
- 채색 재료의 특징을 알고 표현하기 기초로서 중요함을 이해시킨 2. 표현 재료로 종이와 색연필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일까?
- 대상을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고 다양한 표현 방법 탐구하기 다. •마틴(Martin, Kenneth/영국/1905∼1984) 우연과 순서 5: 빨강(유채/
탐구 ③ 시간과 날씨, 또는 빛에 따라 달라지는 색채와 분위기, 바라보는 각도와 눈높이에 따라 달라지 종이 위의 색연필은 선의 겹침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명암 표현 122×122cm/ 1970년 작)
는 형태 등을 고려하며 풍경을 그린다. • 대상을 관찰하고 짜임새 있는 을 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색깔을 낼 수 있다. 무엇보다 가늘고 정교 마틴은 연속 배열, 단조로움, 그리고 움직임이 있고 불안정해 보이
전개 •일상에서 스치는 다양한 장소를 바라보고 떠오르는 생각을 담아 풍경화를 그린다. 화면 구성으로 주제가 드러나 한 선과 색으로 표현하여 자연의 경이로움을 느낄 수 있다. 는 사선에 변화를 주어 리듬의 효과를 만드는데 관심을 둔다. 이 작품 와 수업 중 활동, 그리고 수업 후 평가 계획을 수업의
- 풍경을 보고 떠오르는 느낌과 생각을 바탕으로 구도를 잡고 풍경화 그리기 게 표현하는 것이 중요함을 이
④ 표정과 몸짓을 관찰하고 화면을 구성하여 보는 이에게 감정을 전달할 수 있는 인물화를 그려 본다. 해시킨다. 은 하얀 배경 위에 신중하게 그은 빨갛고 굵은 사선들로 이루어져 있
으며, 그 사선들은 굵기와 간격, 색이 모두 같다. 마틴은 선과 색채의
•친구 모습의 특징을 파악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인물화를 그린다. 전개: 탐구 43쪽
- 비례, 균형, 표정, 시선의 방향 등을 생각하며 다양한 재료로 표현하기 배열은 전체를 구성하는 리듬이고, 이러한 연속 배열은 한 곡의 음악
보다 더 깊은 조화와 불화를 품고 있다고 생각했다.
① 핵심 질문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다. • 핵심 질문의 답을 중심으로 학 드로잉 – 재료와 선 사용에 따라 그림의 인상은 어떻게 달라질까?
② 마무리 표현 활동으로 그림들을 조합하여 이야기가 있는 작품을 만들어 본다. 습을 정리하고, 이야기가 있는 흐름에 맞추어 제시하여 원활한 수업이 이루어지도
드로잉은 재료마다 서로 다른 성질과 느낌을 가지고 있으므로 나
창작 - 드로잉, 정물화, 풍경화, 인물화를 그려 보고, 이 그림들을 조합하여 이야기 만들기 그림을 효과적으로 표현해 보 타내고자 하는 의도에 따라 재료를 달리 선택하여 효과적으로 활용해 •서하늘(학생 작품) 수도꼭지에 비친 나(연필/38.2×54.5cm)
수도꼭지는 은색의 금속으로 되어 있어 물체가 비쳐 보인다. 평면
- 작품의 주제에 맞고 구도와 공간감을 살려 효과적으로 오려 붙이기 는 자기화 과정을 거친다. 야 한다. 선은 덩어리를 암시하고 대상의 윤곽을 나타낸다. 그 중에서 에 비쳐 보이는 것과는 달리 입체 속에 왜곡되어 비쳐 보인다. 금속의
• 도입-탐구-생산의 학습 활동 도 윤곽선은 드로잉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다. 선은 긋는 방향이나 속 질감뿐 아니라 명암과 양감, 그리고 왜곡된 형상을 연필로 꼼꼼하게
정리 ① 대상을 관찰하고 짜임새 있는 화면 구성으로 주제가 드러나게 표현하였는지 점검한다. 을 평가하고, 더 알고 싶은 것
② 회화 표현과 관련하여 더 알고 싶거나 궁금한 것을 질문으로 생성한다. 도, 진하고 흐림, 굵고 가늚 등의 변화만으로도 주제를 심도 있게 표현 그려 낸 수작이다. 록 하였습니다.
을 질문 형식으로 표현한다.
4 | 각론 3. 평면의 특징을 살려 | 5
전개: 탐구 전개: 탐구 전개: 탐구 전개: 창작/정리
사물의 다양한 매력 3
생활 주변의 사물을 어떻게 그림에 담을까? 인물의 자세와 표정 사람들의 모습을 어떻게 표현할까? 되짚어 보기 마무리 이야기가 있는 그림
정물화에는 대상을 바라보는 작가의 주관적인 시선 인물화에서는 인물의 표정과 자세가 그 인물이 가진 특징과 표현 활동 다양한 회화 표현으로 대상을 그리고, 그림들을 조합하여 이야기가 있는 작
정물화는 꽃이나 과일, 책이나 식기 등 움직 과 생각이 드러난다. ⑥은 화분에 사람과 집 등의 작은 대상에서 받은 느낌을 어떻게 표현할까? 품을 만들어 보자.
이지 않는 사물을 그린 그림이다. 정물을 그릴 요소들이 더해져 재미있는 이야기를 만들어 내고 있다. 개성을 드러낸다. 작품 ①은 배 위에서 그림을 그리는 모네를 대상을 관찰하여 특징을 파악하고, 대상에서 받은 느낌과 본문 전개
생각을 작품에 담아 낸다. 이때, 표현 의도에 맞게 재료와
때에는 먼저 대상을 짜임새 있게 배치해 보고, ⑧과 ⑨는 과일의 색과 형을 단순화하거나 왜곡해서 표 그린 마네의 작품이다. 작가는 같은 화가로서 바라본 친구의 모 기법을 선택하면 내 생각을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다. 준비물 도화지, 연필, 지우개, 풀, 가위, 수채 물감 등 채색 도구
대상에서 받은 나만의 느낌을 다양한 재료와 기법으로
습을 애정 어린 시선으로 그림에 담았다. 인물화는 인물의 전신
어느 각도에서 그릴 것인지, 또 배경은 어떻게 현하여 작가의 개성을 드러내고 있다. 을 공간과 함께 그릴 수도 있고, ②나 ④처럼 사람의 얼굴 등 신 표현해 보자.
채울 것인지 생각해야 한다. 작품 ①은 비슷한 이처럼 사물을 관찰하고 그것을 바라보는 나만의 시
높이의 병을 세워 놓고 앞에 작은 그릇을 놓아 선으로 표현하면 보다 더 풍부한 이야기를 담은 작품이 체 일부만을 화폭에 담을 수도 있다. 사람만이 보여 줄 수 있는 완성작
표정과 몸짓을 잘 관찰하고 적절하게 화면을 구성하여 그림을
화면 구성을 지루하지 않게 했다. ③은 책들을 될 것이다. 제작 방법
쌓아 놓고 관찰하여 그림으로써 사물을 바라보 보는 이에게도 감정을 전달할 수 있는 인물화를 그려 보자. 1. 표현하고 싶은 주제를 탐색한다.
2. 주제를 생각하며 배경이 될 풍경과 그 안에 배치할 정물을 찾는다.
는 색다른 시선을 경험하게 한다. 3. 각각 다른 종이에 스케치한 후 채색한다.
4. 풍경화 위에 정물을 오려 붙여 화면을 구성한다.
주변의 사물을 주의 깊게 관찰하며 대상의 매 ① 마네(Manet, Édouard/프랑스/1832~1883)
력을 찾아보자. 그리고 조형 요소와 원리를 적용 ⑥ 이존립(한국/1963~ ) 정원-그리움(유채/72.7×90.9cm/2015년 작) 아르장퇴유의 보트 선상에서 작업 중인 모네 제작 과정
(유채/80.5×100.5cm/1874년 작)
하여 화면을 개성 있게 구성해 보자. ① 모란디(Morandi, Giorgio/이탈리아/1890~1964) 정물(유채/30×44cm/1957년 작)
코칭
주제를 드러내려면 어떤 공
간과 사물을 선택해야 할지
생각해 보세요.
➊ 풍경화 스케치하기
그것이 홍수가 되어 떠내려가는 모습을 상상하여 표현했다.
④ 장샤오강(張曉剛/중국/1958~ ) 기억 상실과 기억: 잠(유채/110× 이진주(학생 작품) 오후 3시(수채, 오려 붙이기/39.3×54.5cm) - 실내에서 차를 마시다가 물을 쏟았는데, ➊
130cm/2006년 작) - 감은 눈에 작게 반짝이는 눈물이 보여 입을
⑨ 파티(Party, Nicolas/스위스/1980~ ) 정물화(캔버스에 파스텔/ 다문 소년의 표정에서 깊은 슬픔이 느껴진다.
⑦ 브라크(Braque, Georges/프랑스/1882~1963) 한낮의 정물(유채/115× 155.5×185.5cm/2015년 작) - 과일들의 형태, 질감, 색 등을 왜곡하여
146.7cm/1929년 작) - 대상을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보고 이를 평면에 ⑧ 리히텐슈타인(Lichtenstein, Roy/미국/1923~ 평범한 소재에서 독특한 분위기가 느껴진다. 친구 작품 감상
적용하여 표현하였다. 1997) 크리스털 그릇이 있는 정물(유채, 합성 ② 이은나(한국/1975~ ) 제발!(수묵 담채/150×150cm ➊ 교과서 축쇄본 수록: 교과서 축쇄본을 실어 교과서
/2008년 작) - 통통한 볼과 놀란 듯한 표정이 인물을
강렬한 원색과 굵은 선으로 표현하여 독특한 인상을
④ 시냐크(Signac, Paul/프랑스/1863~1935) 꽃이 있는 정물 (수채 폴리머/132.1×106.7cm/1973년 작) - 대상을 개성적으로 보여 준다. ③ 쉴레(Schiele, Egon/오스트리아/1890~1918) 두 소녀(수채/40×
/23.5×22cm/1920~1924년 작) - 투명 수채 기법의 맑고 경쾌한 준다. 30.6cm/1911년 작) - 얌전히 앉은 초롱초롱한 눈망울의 두 소녀의
② 세잔(Cézanne, Paul/프랑스/1839~1906) 사과와 비스킷(유채/45×55cm/1879~ ③ 서유라(한국/1984~ ) 한국사(유채/162× 특징을 살려 꽃의 아름다움을 표현하였다. 모습을 투명 수채 기법으로 그렸다. ➋ 정물화 채색하기
1980년 무렵) - 자연스럽게 놓인 사과들의 다양한 색감이 돋보인다. 97cm/2010년 작) - 같은 주제와 같은
색감을 가진 책이 쌓여 있어, 그림뿐 아니라 표현 활동 주관적인 생각을 담은 정물화 표현 활동
글씨를 같이 읽는 재미가 있다. 다양한 방법으로 친구 얼굴 그리기
대상을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고 다양한 표현 방법을 탐구해 보자. 친구 모습의 특징을 파악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해 보자. 완성작
준비물 도화지, 캔버스, 연필, 색연필, 아크릴 물감 등 채색 도구 준비물 도화지, 연필, 지우개, 채색 도구 등 이민정(학생 작품) 날아라 내 친구들!(수채, 오려 붙이기/39.3×
좀 더 자세히 하민수(학생 작품) 여행(수채, 오려 붙이기/39.3×54.5cm) - 여행 54.5cm) - 학교 풍경과 내가 아끼는 것들을 조합하여 상상의 풍경
가방을 보고 여행지의 풍경을 상상해서 가방 속에 그려 넣었다.
이미지를 만들었다.
제작 방법 제작 방법
채색 재료의 특징 1. 사물을 보고 떠오르는 감정과 생각을 바탕으로 구도를 1. 친구를 관찰하여 특징적인 자세와 표정을 포착한다. ➌ 오려 낸 풍경과 정물을 조합하기 내용과 지도서 활용법을 연결하여 교과서 없이 수업
떠올리고 스케치한다.
수채 물감: 물의 양을 조절하여 겹침, 번짐, 흘림 등의 기법으로 맑고 2. 재료와 기법을 선택하고 채색하여 완성한다. 2. 비례, 균형, 표정, 시선의 방향 등을 생각하며 다양한 재료로 표현한다.
경쾌한 느낌을 표현하기에 좋은 재료이다. 3. 친구들에게 결과물을 보여 주고 의견을 나눈다. 3. 완성된 작품을 친구에게 보여 주고 의견을 나눈다. 활동 점검하기 매우 잘함 보통 노력 요함
유화 물감: 물감을 두껍게 바르거나 긁어내는 등 다양한 기법으로 독특 흥미로운 소재 선택과 구도로 개성 있는 작품을 만들었는가?
한 질감을 나타낼 수 있는 재료이다. 건조 시간이 길지만 발색이 코칭
선명하고 오래 보존할 수 있다. 자신의 의도를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재료와 기법을 코칭 스스로 평가하기 만족 보통 보충
아크릴 물감: 수채 물감과 유화 물감의 장점을 모두 가진 재료이다. 빨 박혜리(학생 작품) 오후의 정물화(아크릴/50×40cm) -
선택하세요. 한승목(학생 작품) 과자 속에 풍덩(유채/36×43.5cm) - 햇빛이 길게 들어오는 오후 시간에 식탁에 놓인 물건들을 보고 친구와 대화를 나누며 친구의 개성을 찾아보세요. •대상을 관찰하고 짜임새 있는 화면 구성으로 주제가 드러나게 표현해 보았는가? 만족 보통 보충
과자를 먹을 때의 즐거운 기분을 떠올려 떠다니는 과자들과
리 마르기 때문에 붓을 물에 자주 담가야 하고, 그림을 그리다가
⑤ 이투리아(Iturria, Ignacio 빛을 극대화해서 표현하였다. •자신이 제작한 작품을 성찰하고 다음 작품 계획에 반영하여 나타내 보았는가?
쉴 때에는 팔레트에 분무기로 물을 뿌리고 비닐로 덮어 둔다. /우루과이/1949~ ) 무제(유채/ 사람의 모습을 함께 그렸다. 활동 점검하기 고영채(학생 작품) 내 친구(아크릴, 색종이, 잡지, 연필, 볼펜/각 25.7×36.4cm) •일상생활에서 인물화, 풍경화, 정물화는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파스텔: 부드러운 질감을 낼 수 있는 재료이다. 손가락이나 헝겊 등으 60×60cm/2012년 작) - 화가 활동 점검하기 매우 잘함 보통 노력 요함
로 문질러 표현하며, 완성 후에는 정착액을 뿌려 보관한다. 의 책상을 위에서 내려다본 시 대상을 새로운 방식으로 바라보고 다양한 기법과 재료를 탐색해 표현하였는가? 친구의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내 주는 자세와 표정을 포착하여 표현하였는가? 더 알고 싶은 것은? (예시) 인물과 풍경을 함께 그리면 인물화일까, 풍경화일까?
각으로 그렸다. 매우 잘함 보통 노력 요함
44 평면의 특징을 살려 회화로 표현하기 45 48 평면의 특징을 살려 회화로 표현하기 49 연구를 하실 수 있습니다.
2017년고등미술최종-1209.indb 44 2016-12-09 오전 7:38:27 2017년고등미술최종-1209.indb 48 2016-12-09 오전 7:38:42
2016-12-09 오전 7:38:23 2017년고등미술최종-1209.indb 45 2016-12-09 오전 7:38:37 2017년고등미술최종-1209.indb 49
•김선진(학생 작품) 대조(연필, 색연필/39.3×54.5cm) •서유라(한국/1984~ ) 한국사(유채/162× 97cm/2010년 작) •최요셉(한국/1968~ ) 교회 계단(나무 위에 유채 /62×46cm/2013년 작) •정민지(학생 작품) 공간의 발견(아크릴, 모델링 페이스트/ 66×44cm)
위에서 바라본 학생의 다리와 운동화의 형태와 구조를 정확하게 관 작가 자신만의 방식을 만들고자 책을 뒤죽박죽 섞어서 쌓아올렸다. 풍경화는 자연이나 구조물을 보고 아름답게 느껴지는 부분을 선택 한 건물의 내부와 외부 모습을 각기 다른 시점에서 보고 공간을 표
찰하여 세밀하게 나타내었으며, 명암에 따른 질감과 양감에 유의하여 그녀의 그림에는 주가 되는 책에 따라 색이 바뀌고 테마별로 색감도 하여 그린 그림으로, 화면의 구도와 색채에 유의하면서 원근감을 살 현하였다. 눈높이보다 윗부분은 천장이 많이 보이고, 아랫부분은 건
연필로 꼼꼼하게 표현하여 실재감이 느껴진다. 이 표현은 윤곽선만으 달라진다. 화면에 단조로움을 피할 수 있도록 색이나 구성, 주제와 표 려 표현한다. 이 그림은 나선형 계단의 실내 정경을 포착하여 꼼꼼하 물 외의 또 다른 공간이 보인다. 가운뎃부분은 색채를 강조하여 대조
로 표현한 뒤쪽의 하이힐과 다리의 윤곽선과 대조를 이룬다. 현에서 많은 변화를 주었다. 게 묘사한 작품으로 오래된 건축물 내부의 낡은 질감, 회백색의 톤으 를 이룬다. ➋ 교과서 예시 자료 해설과 지도 방법: 실제 수업에 활
•김지현(학생 작품) 무제(콩테/59×39.3cm) •시냐크(Signac, Paul/프랑스/1863~1935) 꽃이 있는 정물(수채/23.5× 로 빛과 그림자의 효과가 잘 나타나 있다. 표현 활동 공간의 의미를 담은 풍경화
움직이는 대상을 표현할 때에는 대상의 특징을 포착하여 빠른 시간 22cm/1920~1924년 작) •김소현(학생 작품) 흐르다(패널에 먹, 수채, 색연필/45×170cm)
에 선의 강약을 살려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잘 지워지지 않는 콩테로 색채를 곁들여 간결하면서도 경쾌하게 표현한 스케치풍의 투명 수 청계천의 옛 모습과 지금의 모습을 수집하여 시대적 흐름을 그렸 풍경화의 중요한 표현 요소는 원근에 따른 공간감 표현, 빛과 공기의
힘을 강약을 조절하여 표현함으로써 풍부한 색조를 보여 주고 있다. 채화로 짧은 시간에 표현했음을 알 수 있다. 간결하면서도 자유분방 다. 옛 모습은 빛바랜 사진처럼, 오늘날의 모습은 천연색 사진의 모습 작용에 따른 색의 변화 등이다. 이 중에서 어디에 비중을 두느냐에 따 용할 수 있는 예시 자료 해설과 교사와 학생이 소통
한 터치에서 신선함을 느낄 수 있다. 으로 표현하였다. 라 풍경화의 표현이 달라진다.
44쪽 1) 원근법을 무시하고 풍경을 다양한 방법으로 해석하여 표현한다.
•이투리아(Iturria, Ignacio/우루과이/1949~ ) 무제(유채/60×60cm/ •핸슨(Hanson, Duane/미국/1925~1996) 슈퍼마켓 부인(폴리에스터, 섬
사물의 다양한 매력 – 생활 주변의 사물을 어떻게 그림에 담을까? 2012년 작) 유 유리, 아크릴, 오브제/70×70×166cm/1969년 작) 2) 대상을 재현하기보다는 마음으로 해석하여 표현한다.
주변의 사물을 주의 깊게 관찰하면 형과 색, 재질감, 구조 등 저마다 모든 사물은 형과 색, 크기, 질감, 양감, 구조 등 고유의 특징을 지니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사람의 모습을 포착하여 동시대 사회 현상을 •이연재(학생 작품) 빌딩 숲(유채/36×45cm) 하며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내용을 구분하여 제시하
고유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물건들을 배치하여 통일과 변화가 고 있으며, 보는 시각에 따라 느낌과 형태가 다르다. 이 작품은 위에서 풍자적으로 나타낸 작품이다. 핸슨은 실물 그대로를 합성수지로 만 빌딩의 수직선은 상승감을 준다. 삭막해 보이는 도심의 빌딩들
조화를 이루게 화면을 구성하도록 지도한다. 내려다본 시각에서 그렸고, 테이블 위에 화구, 장난감 등 여러 가지 물 들고 실제의 옷을 입힌 조각으로 대량소비와 일상의 삶을 그대로 보 은 화사한 색으로 칠하고 빌딩 윗부분은 생략하여 추상적으로 표 ➋
체를 변화 있게 배치하여 통일 속에서 변화를 꾀하고 있다. 여 준다. 삶에 지친 평범한 인물에 초점을 맞춘 그의 작품은 감정이 현하였다.
•모란디(Morandi, Giorgio/이탈리아/1890~1964) 정물(유채/30×44cm 배제되어 있어 충격적이다. •김지현(학생 작품) 402번 버스(아크릴/88×38cm)
/1957년 작) 좀 더 자세히 채색 재료의 특징 버스를 타고 집에 가는 길의 차창 밖 풍경을 애니메이션처럼 표 였습니다.
채도가 낮은 색, 통일성이 느껴지는 긴 사물들을 활용하여 차분한 작품을 제작할 때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느낌이 다르다. 수채 물감 47쪽
분위기를 보여 준다. 작가는 병과 단지, 그릇 등의 물체를 솔직 담백 의 맑고 경쾌한 느낌, 유화 물감의 중후한 느낌, 이 둘을 모두 표현할 •이왈종(1945~/한국)제주 생활의 중도(장지에 아크릴/73x91cm/2013년 작) 현하였다.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풍경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한 모습으로 배열하는 작업 방식을 취했다. 정물에 보이는 선과 형태, 수 있는 아크릴 물감의 특성, 파스텔의 부드럽고 포근한 느낌 등 표현 사람의 시각에서 보면 인간이 큰 존재이지만 자연의 시각에선 사람
색채가 심오하게 느껴진다. 길쭉한 병들을 나란히 세워놓고 그 앞에 재료의 특성에 따라 각각 다른 효과를 낼 수 있음을 인지시킨다. 도 나비나 물고기처럼 똑같은 생명체이다. 사람, 집, 자동차들보다 꽃 48쪽
작고 낮은 그릇 하나를 배치하여 그림에 작은 재미를 주었다. 과 나비, 물고기 등을 더 크게 하는 등 이왈종 작가는 원근법이나 대 인물의 자세와 표정 – 사람들의 모습을 어떻게 표현할까?
45쪽 상의 크기, 명암과 같은 형식에서 벗어나 자유롭다.
•세잔(Cézanne, Paul/프랑스/1839~1906) 사과와 비스킷(유채/45× 인물의 표정과 자세를 잘 관찰하여 화면을 구성하고, 분위기에 어울리
55cm/1879~ 1980년 무렵) •이존립(한국/1963~)정원-그리움(유채/72.7×90.9cm/2015년 작) •김윤희(한국/1984~ ) 두 개의 탑(장지에 아크릴, 먹/73×135cm/2012년 작) 는 재료를 선택하여 표현하도록 지도한다.
이 작품은 화면을 세 개의 수평면으로 나누는 단순한 구조와 그 위 우리 주변의 다양한 사물들을 자유롭게 배치해 놓고 그렸다. 화분 언덕의 집들은 알록달록한 색으로 채워나가고, 산은 자연의 물성이
로 흩어진 빛의 효과가 잘 나타나 있다. 여러 개의 사과들 중 한 개의 에 여러 가지 화려한 꽃들이 심어 있고, 사람도 앉아 있고, 화분 옆에 녹아 든 수묵으로 표현하여 대조를 이룬다. 작가는 우리 강산의 아름 •마네(Manet, Édouard/프랑스/1832~1883) 아르장퇴유의 보트 선상에
붉은 사과만이 상자 위쪽의 평행선에서 삐져 나와 있다. 이는 단조로 는 강아지도 보인다. 배경에는 장난감 같은 집이 보이지만 정물의 부 다움을 먹과 아크릴 물감을 이용해 전통과 현대, 과거와 현재의 시공 서 작업 중인 모네 (유채/80.5×100.5cm/1874년 작)
울 수 있는 화면의 분위기에 반전을 주며, 리듬감을 부여한다 분으로 여겨진다. 간적인 공존을 펼쳐 보인다. 마네와 모네는 절친한 선후배 사이였다. 마네는 법조인 아버지를
6 | 각론 8 | 각론

4 부록


➊ 교과서 관련 활동지: 학교 현장에서 재구성할 수
있는 교과서 관련 활동지를 제공하여 수업 준비를
도와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➋ 수행 평가 자료: 학습자에 대한 평가에 대비하여
학교 현장에 따라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는 교과
서 관련 수행 평가 예시 자료를 제공하여 교사의
평가 자료 준비를 도와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➌ 미술사 자료: 교과서의 미술사 관련 내용을 일목
요연하게 정리하여 교수·학습에 유용하게 활용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16 17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