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 고등학교 컴퓨터 그래픽 교과서
P. 28
4 컴퓨터 그래픽의 실용화기
1980년대는 컴퓨터 그래픽의 실용화기이다. 컬러 모니터가 등장하고, 컴퓨터가 소
형화되어 가격이 저렴해졌을 뿐만 아니라 성능도 향상되어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이
활성화되었다.
이전에 쓰이던 라이트 펜은 태블릿이나 조이스틱으로 교체되었고, 고속 정전기식 플 라이트 펜(light pen)
가느다란 막대 모양의 수동식 광학
로터가 등장하였다. 이 시기에 컴퓨터 그래픽 소프트웨어가 급격히 발전하였다. 입력 장치. 내부에 감광 소자(感光
素子)를 가지고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면에 이 펜으로 지시를
5 컴퓨터 그래픽의 대중화기 하여 도형을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1990년대는 컴퓨터가 대중화되고 컴퓨터 그래픽에 필요한 종합 정보 네트워크가 태블릿(tablet)
코드나 무선으로 연결된 펜으로 그
구축된 시기이다. 광디스크, 광섬유 등을 이용한 네트워크가 발달하여 컴퓨터 사용이 위에 그림을 그리면 컴퓨터 화면에
커서가 그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그
증가하였다. 인공 지능이 발달하였고 인터넷 및 통신 분야에도 CG가 도입되었다.
려 내는 작고 납작한 판이다.
더 알아보기
CG 효과: 이모션 캡처
이모션 캡처는 사람이나 동물 등의 사물에 센서를 달아 그 대상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영화나 애니메이션 등과 같은
영상에 재현하는 기술이다. 배우의 온몸에 센서를 달아 이모션 캡처 기술로 움직임을 잡아낸다. 이와 더불어 가상 카메
라를 사용하여 CG 캐릭터의 얼굴 표정과 근육의 움직임, 눈동자의 크기 변화, 심지어 땀구멍과 속눈썹의 떨림까지 세
밀하고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즉, 배우의 연기에 컴퓨터 그래픽이 더해져서 영화 특수 촬영 가상 카메라(시뮬캠)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컴퓨터 그래픽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2009년 12월 개봉한 3D 영화 <아바타>는 아날로그적 정서와 신화적 상상력에 이모션 캡처와 같은 디지털 기술을 결
합함으로써 영화 분야에서 컴퓨터 그래픽의 신기원을 연 작품이다.
실사 촬영과 CG가 혼합된 3D 영화 <아바타>(2009)
26 Ⅰ. 컴퓨터 그래픽의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