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7 고등학교 기업과 경영 교과서
P. 197
1 기업의 국제화
길잡이 기업이 해외 시장으로 진출하려면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
1 기업의 국제화 개념
기업의 국제화란 기업이 내부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경영 자원을 해외로 이전시켜 국제화
특정 국가에 거점을 두고 있는 기
경영 활동을 전개하는 과정이다. 여기에는 지리적 범위 확대, 사업 다각화, 생산 및 업이 대상 시장 또는 경영 활동 범
연구 개발, 원자재 개발 등 경영 범위 확대와 계약 방식에 의한 수출 방식, 해외 직 위를 해외 시장으로 확대해 나가는
과정
접 투자에 대한 사업 및 기능 활동 다양화 등이 있다.
전 세계적으로 시장 개방이 더욱 가속화됨에 따라 기업은 세계 여러 지역의 경영 Plus 학습
국제 활동의 대상
자원과 고객의 욕구를 자사의 역량과 결합시키고, 이를 새로운 경쟁력으로 창출하 •재화: 원재료, 중간재, 완제품
•서비스: 금융, 교육, 의료, 관광,
여 세계 시장에 대응해 나가야 한다. 법률, 회계, 컨설팅, 광고
•지식: 기술, 경영 능력, 브랜드,
지식 재산권
2 기업의 국제화 과정
기업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국내 자원을 해외로 이전시키면서 기업의 규모가
커지고 시장이 세계 시장으로 확대되고 있다. 요즘은 전통적인 국제화 과정의 틀을
벗어나 단계나 과정을 뛰어넘어 기업의 이익과 전략을 찾아 해외에서 바로 사업을
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내수 시장에만 전념 •자본의 국내 조달
국내 시장 지향
•국내 시장 점유율의 확대 •국내 제조 판매
(국내 기업)
•국내 시장을 통한 수익의 극대화
해외 시장 지향 •내수 시장에서 벗어나 해외 시장에 진출 •자본의 국내 조달 또는 정부 지원
(수출 기업) •우리나라의 종합 무역 상사 •국내 제조 판매 → 해외 수출
•해외 현지에서 직접 생산 시설에 투자 •저렴한 노동력 확보, 무역 장벽 회피
현지 시장 지향
•다국적 기업으로의 진출과 해외 자원 개발 •해외 자본 시장의 활용
(다국적 기업)
•국내 제조 판매 → 회외 수출 → 개발 도상국 진출
•세계 지향적으로 경영 활동을 전개하는 단계
세계 시장 지향
•가장 비용이 적게 드는 장소에서 생산하여 전 세계에 판매
(글로벌 기업)
•국내 제조 판매 → 해외 → 개발 도상국 진출 → 선진국 진출
[그림 Ⅳ-1] 기업의 국제화 과정
2. 기업의 국제화와 글로벌 경영 195
기업과경영-4단원-3차-수정.indd 195 2017-08-19 오전 11:5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