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1 고등학교 기업과 경영 교과서
P. 201










3 글로벌 기업의 해외 진출 방식

기업의 글로벌 활동은 수출 방식, 국제 계약 방식, 해외 투자 방식 등으로 해외 시
장에 진출한다.

직접 수출 턴키 계약(Turn Key Contract)
수출 방식 시공 업자가 건설 공사의 재원 조
간접 수출
달, 토지 구매, 설계와 시공, 운전
등의 모든 서비스를 발주자를 위
라이선싱, 프랜차이징, 관리
해외 시장 진출 방식 국제 계약 방식 해 제공하는 방식
계약, 턴키 계약, 계약 생산

해외 직접 투자
해외 투자 방식
해외 간접 투자
[그림 Ⅳ-3] 글로벌 기업의 해외 진출 방식



(1) 수출 방식에 의한 해외 진출
수출에 의한 해외 진출 방식은 기업이 국제화할 때 가장 많이 이용하는 방식이다.

국제화 초기 단계에서는 해외 시장의 정보가 없기 때문에 국내에 있는 수출 대행 업
자나 해외에 있는 수입업자를 거쳐 해외 시장에 제품을 수출하는 간접 무역을 하다
가 점차 제3자를 개입시키지 않고 직접 수입국의 무역업자와 매매 계약을 한다.


① 직접 수출
직접 수출은 수출 관련 업무를 제3자 개입 없이 수출 기업과 수입 기업이 직접 매

매 계약을 체결하는 무역으로 해외 시장 조사, 계약, 운송 등을 직접 수행할 능력이
있을 때 이루어지는 무역을 말한다.


•국제 시장의 전문성 축적 •시장 개척 시 비용 증가
•제3자 이익 배제 및 절약
장점 단점 •정보 부족으로 위험 증가
•유리한 계약 조건 •지사 설치 및 운영 비용 증가
•문제 해결을 위한 신속한 대처



② 간접 수출
간접 수출은 수출 관련 업무를 타인이 수행하는 것으로, 수출국과 수입국의 거래 Plus 학습
간접 수출의 종류
당사자 외에 제3자의 개입으로 거래가 이루어지는 무역을 말한다. 이 방식은 자본 중계 무역, 중개 무역, 스위치 무
역, 가공 무역, 통과 무역, 우회
비용이나 위험 수준이 낮고, 고정 자본 투자가 거의 필요 없어서 많은 기업들이 초
무역 등이 있다.
기 단계의 해외 진출 방식으로 사용한다.


•인력이나 자본 추가 투입 없음. •시장 통제력 약화
•무역에 대한 경험 지식 없이 가능 •문제 해결 시 대처가 늦어짐.
장점 단점
•손실에 대한 위험 부담 적음. •잠재된 시장에 대한 기회 상실
•전문 무역 상사의 해외 판매망 이용 •현지 시장 정보 부족


2. 기업의 국제화와 글로벌 경영 199






기업과경영-4단원-3차-수정.indd 199 2017-08-19 오전 11:52:04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