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4 고등학교 기업과 경영 교과서
P. 204









(3) 해외 투자 방식에 의한 해외 진출

해외 투자 방식에 의한 해외 진출은 국제간 자본 이동의 한 형태로, 장래의 수익
을 기대하거나 외국 기업의 경영에 참가할 목적으로 자본, 경영 능력, 기술, 상표 등

의 생산 요소를 복합적으로 해외에 이전시키는 기업 활동이다.

① 해외 직접 투자

해외 직접 투자는 해외 기업의 경영에 직접 참가하거나 기업의 유형 자원뿐만 아 궁금해요
Q 기업이 해외 진출 시 고려해야 할
니라 경험과 지식, 노하우, 경영 기술 등의 생산 요소를 해외로 이전하여 생산 및 판 점에는 무엇이 있나요?

매하는 방식으로, 단독 투자, 합작 투자, 인수·합병, 신설 등이 있다. A 규제 제품의 특성과 시장 상황, 종
교적, 정치적, 사회·문화적 환경
등이 있습니다.
•현지 기업의 의결권주 95% 이상 소유
단독 투자 •경영권과 투자 이익 독점을 갖고 있으나 위험 부담 높음.
소유권
•서로 다른 국적을 가진 2개 이상 기업의 결합
합작 투자
•각 기업의 경영 자원과 능력을 결합하여 공동 사업체 설립
인수·합병 •다른 기업의 주식이나 자산 등을 매입하여 경영권을 확보
진출 (M&A) •독립된 기업들이 인적·물적·자본적 결합으로 기업 활동을 운영
형태
신설 •기업을 새롭게 설립하여 해외 시장에 진출

[그림 Ⅳ-4] 해외 직접 투자의 유형


해외 직접 투자 동기는 다음과 같다.

Plus 학습
•현지 시장 확대 및 유지 해외 시장 진입 전략에 따른
•현지의 싸고 안정적인 자원 확보 기업의 수익과 위험
•환율, 임금, 무역 장벽 등 경영 환경 변화 적용 비용 단독 투자
•선진 기술 및 경영 지식 습득
합작 투자
•현지에서 독점적 우위 확대 위험
직접 수출
•해외 자본 유입을 위한 정부 정책 유인책
간접 수출
낮음
적음 기업의 수익 많음
② 해외 간접 투자
해외 간접 투자란 해외 기업의 경영 지배나 통제의 목적이 아닌 배당금이나 이자

수익을 목적으로 외국 기업의 주식이나 채권을 취득하는 것을 말한다.



경영
이야기 컨소시엄



컨소시엄은 특정 국가나 공공 기관에서 추진하는 대규모 사업에 여러 기업이나 금융 기관, 외국
기업 등과 연합 출자하여 참여하는 방식으로, 사업이 완료되면 해체하는 국제화 방법이다.
컨소시엄을 구성하면 투자 위험의 분산과 부족한 기술 보완, 개발 이익 배분 등의 장점이 있다.

202 Ⅳ. 글로벌 경영






기업과경영-4단원-3차-수정.indd 202 2017-08-19 오전 11:52:05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