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1 고등학교 기업과 경영 교과서
P. 211










3 세계 경제 공동체 구축 현황

세계 경제 공동체 구축의 목적은 각 국가들이 자국의 이익을 위해 특정 지역에서
경제 활동의 자유화를 추진하는 데 있다.



유럽 연합(EU) 유로 존
유럽 27개국 유럽 15개국
경제·정치 공동체 통화 단일화
남동 유럽 지역 협의회(RCC)
남동 유럽 12개국
경제·정치 공동체
북미 자유 무역 협정
(NAFTA)
지중해 연합 미국·캐나다·멕시코
유럽·북아프리카·중동 3개국
44개국 한·중·일 공동체




아프타(AFTA)
남미 국가 연합(UNASUR)
동남아 10개국 남미 12개국
경제 공동체

걸프 협력 기구(GCC)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6개국 남미 공동 시장(MERCOSUR)
산유국 협력체 남미 7개국
아프리카 공동체(EAC)
역내 단일 통화 추진


[그림 Ⅳ-5] 세계 경제 공동체 구축 현황



[표 Ⅳ-4] 세계 경제 공동체

지역 경제 통합 내용

2016년 기준 유럽 지역의 27개국이 회원국으로 있음. 역내 회원국 간에는 관
유럽 연합
세를 포함한 무역 장벽을 철폐하고 역외국에서의 수입에 공동 관세 부과, 경제
(EU)
동맹의 형태로 운영
북미 자유 무역 협정 미국의 자본과 기술, 캐나다의 자원과 기술, 멕시코의 자원과 노동 등 3개국이
(NAFTA) 역내 교역 증진 및 투자 확대, 상호 고용 및 성장 촉진이 목적

아세안 10개국의 자유 동남아 지역 10개 국가가 연합함. 회원국 간의 경제 협력 및 자유 무역을 위한
무역 협정 협력체로 가장 초보적인 경제 통합 단계로서 회원국들 간의 교역 시 제한적 품
(AFTA) 목에 관세 인하 및 수량 제한을 철폐하기로 한 지역 경제 통합체

아프리카 공동체 2001년에 설립된 동아프리카 5개국(탄자니아, 케냐, 우간다, 르완다, 부룬디)의
(EAC) 지역 협력체


남미 공동 시장 남아메리카 국가들의 물류와 인력, 그리고 자본의 자유로운 교환 및 움직임을
(MERCOSUR) 촉진하며 회원국과 준회원국 사이의 정치·경제 통합이 목적


3. 경제 통합과 FTA 209






기업과경영-4단원-3차-수정.indd 209 2017-08-19 오전 11:52:32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