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0 고등학교 기업과 경영 교과서
P. 120









6 노사 관계 관리



길잡이 근로자와 사용자가 다투는 이유는 무엇일까?



1 근로 기준법

우리나라의 근로 기준법은 헌법에 따라 근로 조건의 기준을 정함으로써 근로자의 근로자
직업의 종류와 관계없이 임금을
기본적 생활을 보장・향상시키며 균형 있는 국민 경제의 발전을 꾀하는 것을 목적 목적으로 사업이나 사업장에서 근
로를 제공하는 자
으로 한다.
근로 기준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
사업주 또는 사업 경영 담당자, 그
밖에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서 사
•임금, 근로 시간, 근로자의 처우에 관한 사항 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강제 근로 강요・폭행・중간착취 금지
Plus 학습
•근로자와 사용자가 단체 협약, 취업 규칙과 근로 계약을 지킬 의무 노동조합(勞動組合)
•악의적・상습적인 임금 체불 사업주의 명단 공개 노동자들이 권리를 얻기 위해 만
든 노동자의 사회단체이며 노조
•근로자의 휴가 사용 촉진 (勞組, Union)라고도 함.

• 남녀의 성(性), 국적・신앙, 사회적 신분을 이유로 근로 조건에서 차별적 처우 금지 단체 교섭
•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의 보호 노조 대표와 사용자 간에 고용
조건을 결정하기 위해 하는 협
상 과정

2 노사 관계 관리의 개념 쟁의
근로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일어
나는 분쟁
노사 관계 관리란 근로자와 사용자의 관계를 조직 목표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관
리하는 것을 말한다. 무한 경쟁에서 노사가 함께 생존하기 위해서는 대립으로 인한

자원 낭비보다 노사 간에 신뢰를 형성하고 노사의 참여와 협력을 통하여 노사 간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3 노동 분쟁의 해결 방안

노동 분쟁이란 근로자와 사용자 사이에 임금이나 노동 시간, 노동 조건 등에 관한
대립으로 일어나는 분쟁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근로 조건을 유지하고 개선하여 근

로자의 경제・사회적인 지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헌법에 따라 근로 3권을 보장하
고 있다.

(1) 단결권

단결권은 근로자들이 권익을 보호하고 사용자를 견제하기 위해 자주적으로 노동

조합을 결성하고 조합원으로 활동할 수 있는 권리이다.

118 Ⅲ. 기업의 부문별 활동






기업과경영-3단원-3차-수정.indd 118 2017-08-19 오전 11:36:41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