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2 고등학교 마케팅과 광고 교과서
P. 242
대단원 평가 문제
01 기업이 소비자 행동을 이해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 06 고관여 상황에서의 의사 결정 단계로 옳은 것은?
가 아닌 것은?
㉠ 문제의 인식 ㉡ 대안의 평가
① 소비자 보호 활동
㉢ 정보의 탐색 ㉣ 구매 의사 결정
② 소비자 행동의 통제
㉤ 구매 후 행동
③ 새로운 시장 기회의 평가
④ 시장 세분화 및 표적 시장 선정
① ㉠→ ㉡→ ㉢→ ㉣→ ㉤
⑤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의 수립
② ㉡→ ㉠→ ㉢→ ㉣→ ㉤
02 다음 빈칸에 들어갈 단어로 알맞은 것은? ③ ㉡→ ㉢→ ㉠→ ㉣→ ㉤
④ ㉣→ ㉠→ ㉡→ ㉢→ ㉤
단기 기억
감지 ⑤ ㉠→ ㉢→ ㉡→ ㉣→ ㉤
(주의/이해)
07 정보 탐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긴급한 문제일수록 외적 탐색을 많이 한다.
장기 기억
② 제품 지식이 많으면 외적 탐색을 적게 한다.
③ 제품의 가격이 높을 때 외적 탐색을 많이 한다.
① 노출 ② 자극
④ 제품에 대한 경험을 떠올리는 것은 내적 탐색이다.
③ 지각 ④ 식역
⑤ 내적 탐색만으로 의사 결정이 어려우면 외적 탐색
⑤ 감각 등록기
을 한다.
03 감각 기관이 자극을 감지할 수 있기 위한 최소한의 강
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08 소비자 정보 원천의 분류가 다른 하나는?
① 한계 자극 ② 절대적 식역 ① 광고 ② 포장
③ 절대적 자극 ④ 상대적 식역 ③ 중간상 ④ 판매원
⑤ 상대적 자극 ⑤ 시험 구매
04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09 ‘기대 불일치 이론’이 주장하는 만족을 느끼려면 네모
안에 어떤 기호를 넣어야 할까?
이곳의 기억 용량은 무한하며 저장된 정보는 단기 기억에
인출되어 의사 결정에 사용되거나 단기 기억에 유입된 새 구매 전 기대(E), 구매 후 성과(P)
로운 정보를 처리하는 데 사용된다. E P = 만족
① 감각 기억 ② 노출 기억 ① ≻ ② ≥ ③ ≤
③ 장기 기억 ④ 주의 기억 ④ × ⑤ ∞
⑤ 이해 기억
10 다음 중 구매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05 관여도를 결정짓는 요인이 아닌 것은? 요인이 아닌 것은?
① 제품의 크기 ② 관심의 정도 ① 문화 ② 가족
③ 관련성 지각 정도 ④ 개인이 처한 상황 ③ 소집단 ④ 라이프 스타일
⑤ 중요성 지각 정도 ⑤ 사회 계층
240 Ⅴ. 소비자 행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