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8 고등학교 마케팅과 광고 교과서
P. 238









2 소비자 운동의 이해



소비자 운동이란 무엇일까?






1 소비자 운동의 개념



소비자 운동이란 소비자의 권익 보호라는 기본 정신에 따라 거래에서 발생하는 여
러 문제를 소비자가 주체적으로 해결하고 추진하려는 사회 운동이다. 즉, 소비자 운동

은 침해되고 있는 소비자의 권리를 회복하고 확립하기 위한 소비자의 자주적인 운동
이다. 소비자 운동의 주된 목적은 소비자의 권익 보호와 소비자 생활의 질적 향상이
라고 할 수 있다.

소비자 운동의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소비자들이 시민 단체나 특정 제품 동호회를
만들어 불량 제품에 대한 리콜을 요구하거나 불매 운동을 벌이고 생산 업자에게 상품
의 안전성 보장 의무를 법제화시키고, 상품 품목에 대한 정보 제공과 소비자 교육을

요구하는 것 등이 있다.




2 소비자 운동의 역사
랠프 네이더(1934~ )
소비자 보호 운동가, 변호사 1906년 식품에 대한 안전 기준을 마련하고 대중을 보호하려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1960년대에 소비자 보호 운동을
주도하는 변호사로 유명해졌다. 여 미국의 식품의약품위생법(Pure Food and Drug Act of 1906)이 소비자 운동의 시
러 대기업과 정부의 부정을 고발하
여 많은 성과를 올렸다. 작이라고 볼 수 있으나, 본격적으로 소비자 운동이 시작된 것은 1960년대부터라고
할 수 있다.

랠프 네이더(Ralph Nader)는 1966년에 자동차의 위험성에 대하여 미 의회에서
증언하여 전국 교통 및 자동차 안전법을 제정하는 계기를 만들었고 이후 육류 가공
업계에 대한 조사를 실시해서 1967년 육류 위생법 제정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의 소비자 운동은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가 출범

하기 이전에 개별 단체로부터 시작되었다. 1950년대 중반
대한 YWCA 연합회, 한국 부인회, 대한 어머니회 등에서 실
시한 소비 절약, 저축 생활 계몽 운동 등의 활동을 소비자

운동의 효시라고 보는 견해도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1960
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었다고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236 Ⅴ. 소비자 행동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