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3 고등학교 기업과 경영 교과서
P. 73
2 조직 문화의 기능
조직 문화는 조직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며, 장기적으로 기업의 성패를 좌우한
다. 하지만 조직 문화가 기업에 좋은 영향만 미치는 것은 아니다. 너무 강한 가치관
은 조직 구성원의 사고를 경직시키고 환경 변화를 간파하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 되
기도 한다. 기업의 조직 문화는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기능이 있다.
조직 구성원의 행동 지침 조직 구성원의 조화와 단합
조직의 공유된 문화를 통해 조직 구성원들이 조직 문화로 조직 내부의 조화로운 분위기를
상황에 따라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지 판단할 유지하고 부서 단위, 업무 단위 등의 단합으로
수 있게 된다. 동질감을 갖게 한다.
조직 구성원의 일체감 형성 환경 적응의 강화
구성원들이 행동 양식과 가치관을 공유하여 조직 문화가 잘 발달되어 있다면 조직의 특성
구성원들이 일체감을 가지게 한다. 더 나아가 과 장단점을 알고 있으므로 구성원들이 공감
조직이 자신을 대표하는 하나의 실체라고 생 대를 형성하여 환경 변화에 빠르게 적응할 수
각한다. 있게 된다.
정보 전달의 간소화 조직의 안정성 증대
조직 문화로 구성원들의 판단을 알 수 있으므 구성원들에게 행동의 일관성을 제시하고 조직
로 정보를 전달하는 비용이나 시간을 줄여 오 의 변화를 예측 가능하게 함으로써 결과적으
해와 갈등을 줄일 수 있다. 로 조직의 안정성을 증대시킨다.
[그림 Ⅱ-19] 조직 문화의 긍정적 기능
현장 바람직한 조직 문화를 만든 G사
이야기
놀이터 같은 일터, 화려한 색깔의 의자가 놓인 사무실, 유기농 식단으로 구성된 양
질의 세끼 공짜 식사와 사무실 곳곳에 자리 잡은 ‘마이크로 키친’의 다양한 간식, 업
무 시간의 20%를 개인적으로 자유롭게 쓸 수 있는 곳!
최고 수준의 연봉과 직원 복지, 자유롭고 수평적인 조직 문화 등은 ‘신의 직장’이라
불리는 G사를 상징하는 아이콘들이다. G사는 경제 월간지 포춘이 선정한 ‘일하기 좋
은 100대 기업’에 6년 연속 1위로 선정되었고, 전 세계 대학생이 뽑은 ‘가장 일하고
싶은 직장’에서도 1위를 차지하였다.
G사는 평범한 사람을 뽑아 교육·훈련 시간을 들여 인재로 키우는 것보다 처음부터 최고의 인재를 뽑는 데 우선 투
자한다. G사는 이렇게 뽑은 직원을 믿고, 관리자의 권한을 직원에게 위임한다. 성과 평가나 보상 대신 개인의 성장에
초점을 맞추어 성과를 개선한다. 또 최고의 직원과 최악의 직원에게 집중 투자한다. 성과 측면에서 하위 5%에 속하는
최악의 직원이 성과를 개선할 기회가 가장 많기 때문이다.
출처: 구글의 아침은 자유가 시작된다, 라즐로 복 지음, 알에이치코리아
2. 조직 71
기업과경영-2단원-3차-수정.indd 71 2017-08-19 오전 11:3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