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9 고등학교 기업과 경영 교과서
P. 89









(3) 최근의 새로운 리더십 유형

리더의 형태는 사회 변화에 따라 달라진다. 과거의 리더십도 효과적일 수 있지만
최근의 추세에 따라 리더 스스로 변화하는 등 조직 구성원들이 원하는 새로운 리더

십이 나타나고 있다.

① 서번트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이란 리더가 구성원들을 섬기는 자세로 그들의 성장 및 발전을 돕고 서번트 리더십
(Servant Leadership)
조직 목표 달성에 구성원들 스스로 기여하도록 만드는 것을 말한다. 그린리프는 서 1977년 AT&T에서 경영 관련 교

번트 리더십을 ‘타인을 위한 봉사에 초점을 두며, 종업원·고객 및 공동체를 우선시하 육과 연구를 담당했던 로버트 그
린리프(Robert K. Greenleaf)가 저
고 그들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헌신하는 리더십’이라고 정의하였다. 서 ‘Servant Leadership’에서 처
음으로 제시하였음.
② 카리스마적 리더십 Plus 학습
서번트 리더의 특성
카리스마적 리더십을 주장한 하우스(R. House)는 경영자가 권력 욕구와 자신감이 ① 자신을 서번트 또는 지원자
강하며 자신의 신념을 확신할 때 조직 구성원들이 신뢰한다고 보았다. 로 인식한다.
② 조직에서 가장 가치 있는 자
리더의 강한 자신감과 신념에 대한 확신은 부하 직원이 리더의 판단을 신뢰하게 원은 사람이라고 인식한다.
③ 늘 학습하는 태도를 보인다.
만든다고 보았다. ④ 먼저 경청한다.
⑤ 설득과 대화로 업무를 추진
③ 슈퍼 리더십 한다.
⑥ 커뮤니티 형성을 지원한다.
슈퍼 리더십이란 경영자가 조직 구성원들 스스로 자신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⑦ 권한을 위임해 리더십을 공
유한다.
갖춘 인재로 양성하는 리더십을 말한다. 슈퍼 리더십은 자기 스스로를 지도·관리한

다는 셀프 리더십 개념을 수반하며, 리더는 조직 구성원들이 스스로를 통제하고 규 하우스(Robert J. House)
1977년 카리스마적 리더가 어떤
제하며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방식으로 행동하고, 일반 사람과는
어떻게 다르며, 어떤 상황에서 출
현하게 되는가에 대한 이론을 전
개하였음.


활동 바람직한 리더십 조사, 발표, 토론하기 모둠 의사소통 능력/조직 이해 능력
바람직한 리더십의 사례를 조사하여 발표하고 토론해 보자.

바람직한 리더의 특성을 일반화하여 설명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은 아홉 가지의 특성을 가진 리더가
효과적인 리더십을 발휘한다는 연구가 있다.
① 지배력: 일을 향한 열정, 지도력 ② 높은 열정: 추진력, 조직을 향한 열정
③ 자신감: 자신의 판단, 의사 결정의 자신감 ④ 통제 능력: 조직의 통제 능력
⑤ 안정감: 자신의 감정을 통제, 구성원들을 대하는 일관성 ⑥ 성실함: 윤리성, 정직성
⑦ 지적 능력: 업무나 상황에 대한 지적 능력 ⑧ 유연성: 다양한 상황의 적응 능력
⑨ 타인 수용 능력: 타인의 감정에 공감, 소통 능력 출처: Lussier & Achua의 바람직한 리더십 연구(2007)

주제 1 어떤 리더십이 바람직한 리더십인지 토론해 보자.
주제 2 기업의 사례, 학교 및 일상생활(가정, 동아리, 외부 단체 등)에서 볼 수 있는 사례에서 바람직한 리더십을 주제로 토론해 보자.



3. 지휘 87






기업과경영-2단원-3차-수정.indd 87 2017-08-19 오전 11:34:5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