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0 고등학교 마케팅과 광고 교과서
P. 190









2 광고 효과 측정



광고 효과를 구체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는 광고를 몇 명이 보았는지, 몇 번 조사했
는지 등을 계산한다. 이를 위해서는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는 것이 좋
겠지만, 이 방법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오류도 많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 광고

효과 측정을 위한 조사는 표본을 추출하고 확률에 근거한 통계 방법을 사용한다.

(1) 광고 도달률



하나 알기 광고 도달률이란 광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어떤 매체 혹은 매체 스케줄에 최소한 한
TV 광고 도달률 번 또는 그 이상 노출된 표적 청중의 수, 혹은 퍼센트를 의미한다. 도달률은 광고 메
피플미터(people meter)라고 하는
장치를 패널로 참여하는 가정의 TV 시지에 노출된 사람의 수로 계산한다.
에 부착하여 TV의 작동 시간과 선
정된 방송 채널을 기록하고, 리모컨 (2) 광고 노출 빈도
으로 개인 시청 정보를 입력하도록
한다. 광고 노출 빈도는 광고에 노출된 타깃이 단위 기간(일반적으로 3~4주) 동안 평균
이 피플미터를 통하여 수집되는 정
보로 몇 명에게 광고가 노출되었는 적으로 몇 회씩 광고를 접하였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광고 노출 빈도는 광고 메시지
지를 계산하여 TV 광고 도달률을
구할 수 있다. 에 노출된 평균 횟수이다.

(3) 광고 총 노출률

광고 총 노출률(GRPs: Gross Rating Points)은 주 단위 또는 월 단위의 메시지
누적 전달량을 표현하는 수치이다. 동일한 개인이나 가구가 몇 번이건 반복 노출된

경우를 모두 포함하여 계산한다. 텔레비젼 광고는 시청률과 노출 횟수를 곱하고, 신
문이나 잡지 등은 구독률과 연간(또는 월간) 게재 횟수를 곱하여 계산한다.

(4) 기타 광고 용어


텔레비전과 인터넷 같은 광고 매체는 기술적으로 광고 메시지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지만, 라디오 광고, 인쇄 광고, 옥외 광고 등은 수신 여부의 확인이 어렵고 상대
적으로 정확하지 않다. TV와 인터넷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광고 도달률과 노출 빈

도를 계산한다.

[표 Ⅳ-2] 텔레비전과 인터넷의 광고 효과 측정

매체 광고 효과 측정

•가정 시청률 = 프로그램 시청 가구 수/텔레비전 보유 가정 수×100
TV •표적 시청률 = 표적 고객 중 시청자 수/총 표적 고객 수×100
•총 도달 빈도 = 도달 범위×도달 빈도
• 행동 효과 = 광고에 노출된 사람이 쇼핑몰 사이트를 방문하여 이루어지는 구매 금액 또는 횟수
인터넷
• 응답 효과 = 광고에 노출된 사람이 해당 광고를 클릭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탐색하거나 이벤트에 응모하는 횟수

188 Ⅳ. 광고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